부산 사상구에 들어설 예정인 부산도서관 조감도. 부산시 제공
해운대구 등 부산 동부권에 견줘 상대적으로 생활·교육·정주 여건이 뒤떨어진 서부권에 대규모 도서관 2곳의 설립이 속도를 내고 있다. 부산을 대표하는 이들 도서관 설립이 부산의 고질적인 동·서 지역 간 격차 해소에 도움이 될지 관심이 모아진다.
부산시는 19일 “사상구 덕포동 도시철도(지하철) 2호선 덕포역 근처 옛 수도계량기검사센터에 들어설 지역 대표 도서관 이름을 부산도서관으로 확정했다”고 밝혔다. 앞서 부산시는 시민공모를 통해 접수한 지역 대표 도서관 이름 1182개 가운데 전문가 자문 등을 통해 4개로 압축했는데, 시민 선호도 조사에서 부산도서관이 48% 지지를 받아 1위를 차지했다.
부산도서관은 지하 2층, 지상 4층, 연면적 1만7200㎡ 규모로 2018년 완공될 예정이다. 일반자료실과 어린이자료실 등 공공도서관의 기본 공간과 150만권을 둘 수 있는 공동보존서고, 부산학자료실 등이 들어선다. 또 다목적홀·전시실·회의실·상담실 등 복합 문화시설과 정보광장, 무한상상실, 북카페, 스마트 그룹스터디룸 등이 설치된다.
같은 서부권인 강서구 명지동 명지국제신도시 근린공원에는 국회도서관 분관(자료보존관)이 2021년께 문을 연다. 국비 397억원을 들여 지하 2층, 지상 3층, 연면적 1만3400㎡ 규모로 짓는다. 국회는 2023년이면 국회도서관 수장고 공간 부족이 예상되자 분관을 짓기로 하고 예정지를 물색했다. 전국 자치단체들 간 유치경쟁이 치열했으나 부산시의 100만권 기증운동과 국회도서관 분관 유치를 위한 100만명 서명운동 등에 힘입어 지난 3월 부산 강서구로 확정하고 4월 기본계획 용역을 발주했다. 국회는 오는 10월 기획재정부와 협의를 거쳐 사업비를 확정하고 12월 설계공모에 들어갈 예정이다.
부산시 교육협력과 관계자는 “부산을 대표하는 도서관 2곳이 서부권에 들어서면 동·서 격차 해소와 지역 간 정보 격차를 줄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했다.
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