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서귀포시 성산읍 주민들이 25일 오전 성산읍사무소 앞에서 제2공항 성산읍 반대대책위원회 발대식을 열고 공항 입지 원점 재검토 등을 요구했다. 허호준 기자
제주 서귀포시 성산읍 일대가 제2공항 건설 예정지로 확정된 가운데 해당지역 마을 주민들로 구성된 반대대책위원회가 공식 출범했다. 제주 제2공항 성산읍 반대대책위원회는 25일 오전 10시 서귀포시 성산읍사무소 앞에서 해당 지역 주민 수백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발대식을 열고 제2공항 입지 재검토를 촉구했다.
해당지역 주민들은 정부와 제주도가 지난해 11월 성산읍 신산·난산리 일대를 제2공항 예정지로 확정하자 신산리, 난산리, 수산1리 등 각 마을별 비상대책위원회를 꾸려 제주도청 앞에서 1인 시위에 들어가는 등 꾸준히 반대활동을 펼쳐왔다.
대책위는 이날 성명을 통해 “이번 제2공항 입지 선정과정은 지역주민과 상의하지 않고 극비리에 이뤄졌다. 강정 해군기지, 밀양 송전탑, 성주 사드 배치 결정, 제주 제2공항 입지 선정과정의 공통점은 절차를 무시한 폭압적 개발주의에 있다”고 주장했다.
대책위는 이어 “이 땅은 우리의 삶과 역사, 문화 등 모든 가치가 담겨져 있는 터전이며, 우리의 존재 이유다. 삶의 터전에 공항을 짓기 위해 한 줌의 흙도 내줄 수 없다”며 밝혔다.
대책위는 또 “용역에서는 제주도에서 가장 안개가 많이 발생하는 곳을 기상청이 인정한 고산이 아닌 표선으로 만들어버렸다. 정석공항 쪽이 준 기상데이터를 인용해 놓고 용역보고서 상에는 성산기상대 기상자료를 인용했다고 허위내용으로 조작했다”며 입지 선정을 철회하라고 요구했다.
이들은 결의문을 통해 △입지 선정 원천 무효 △예비타당성 조사 즉각 중단 △제2공항 입지 원점 재검토 등을 촉구했다.
이번 대책위 출범으로 마을대책위별로 벌여왔던 반대운동의 구심점이 만들어졌고, 시민사회단체 등도 지지의사를 밝히면서 반대운동이 더욱 거세질 전망이다.
정부는 지난해 11월10일 제주 제2공항 후보지로 서귀포시 성산읍 일대를 확정했다. 총사업비는 4조1천억원이며 길이 3200m, 너비 60m의 활주로 등이 건설된다. 한국개발연구원은 현재 예비타당성 조사를 하고 있다.
글·사진 허호준 기자
hojoo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