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복 71돌을 맞아 경기도교육청이 일제 강점기 때의 교명 바꾸기 등 학교 안 일제 잔재 청산에 나선다.
이재정 경기도교육감(사진)은 10일 월례 기자간담회에서 “올해 광복 71돌과 2019년 3·1운동 100돌을 앞두고 학교 내에 남아 있는 일제의 잔재를 청산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 교육감이 대표적 사례로 꼽은 것은 학교 이름으로, 일제강점기 방위작명법에 따른 이름, 또는 우리 고유지명을 일본식의 의미 없는 한자어로 바꾸거나 서열화하고 차별화된 학교 이름을 지적했다.
이 교육감은 “일재 잔재가 남은 학교 이름을 지역 특성을 고려해 지역에서 자율적으로 바꾸는 한편 학교 안에 관행적으로 남아 있는 일제의 학교 문화도 개선하겠다”고 말했다. 예컨대 조회대와 애국조회, 훈치사, 전체 차렷과 경례 등 학교에서 통용되는 학교 문화는 일제시대 권위적이고 중앙 중심적인 군사문화의 잔재로 청산의 필요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최근 경기도교육청이 도내 전체 학교를 대상으로 학교 이름을 조사한 결과, 교육적 의미를 담은 학교 이름은 543개교에 불과했다. 나머지 대부분은 단순히 행정동명을 따른 것이 1157곳, 마을이름을 딴 것이 1000곳, 동서남북과 같이 단순히 방위명을 따른 것이 104곳 등 순을 보였다.
경기도교육청은 아울러 경술국치일인 8월29일에는 학교에서 조기 게양 등 국권을 상실한 치욕의 날에 대한 계기교육도 하기로 했다.
전윤경 경기도교육청 장학관은 “학교에서 교원과 학부모, 동문 등 구성원들이 합의해 교명 개명 신청을 하면 이에 대한 행정지원 방안을 마련하겠다. 훈치사 처럼 학교 안에서 여전히 통용되는 일제 잔재 문화도 아예 없애거나 순수한 우리말로 바꿔 시행하는 방안을 마련할 에정”이라고 말했다.
홍용덕 기자
ydhong@hani.co.kr 사진 경기도 교육청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