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와 경기 시흥시가 22일 서울대 시흥캠퍼스 조성을 위한 실시협약을 체결했다.
2018년 3월 서울대 시흥캠퍼스 시대가 열린다. 서울대와 경기 시흥시는 22일 배곧신도시 지역특성화 사업자인 ㈜한라와 ‘서울대 시흥캠퍼스 조성을 위한 실시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서울대는 배곧신도시 특별계획구역 91만㎡ 가운데 교육·의료복합용지 66만2000㎡를 시흥시로부터 무상으로 제공받고 한라로부터 캠퍼스 시설지원금 3000억원을 현물 형태로 지원받는다. 추가 개발이익에 대해서도 최대 1500억원을 받기로 했다. 올해 하반기 공사를 시작해 2018년 3월부터 시흥캠퍼스가 순차적으로 조성된다.
실시협약은 ‘친환경 캠퍼스 조성’과 ‘글로벌복합연구단지 조성’ 등을 주요 내용으로 담고 있다. 서울대와 시흥시가 관내 초·중·고교에 교육 프로그램 개발 등을 위해 상호 노력한다는 것도 포함됐다. 서울대 쪽은 시흥캠퍼스가 관악캠퍼스의 과밀을 해소하기 위해 조성되는 캠퍼스인만큼 무인자동차나 드론 테스트 등을 할 수 있는 첨단 연구 공간이 될 것으로 기대했다.
애초에 시흥캠퍼스에 들어선다고 거론된 기숙형 대학과 병원에 대해서 서울대 쪽은 “결정된 바가 없다”고 일축했다. 한규섭 서울대 협력부처장은 “기숙형 대학은 학생들과 밀접하게 관련된 문제로 논의가 필요하다”며 “실시협약에도 구체적인 안은 포함시키지 않았다”고 말했다. 병원 설립도 수익성 검토 등이 추가적으로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시흥시는 “초기에 주요 시설로 논의된만큼 기숙형 대학과 병원이 캠퍼스에 들어오길 바란다”고 말했다.
서울대 시흥캠퍼스 조성 계획은 지난 2007년 서울대가 세계 10위권 도약을 위한 비전을 담은 ‘서울대 장기발전계획(2007∼2025년)’에 따라 2007∼2008년 캠퍼스 후보지 공모를한 결과, 시흥시가 캠퍼스 조성지로 결정되면서 본격화됐다.
서울대는 기획부총장을 위원장으로 하는 '시흥캠퍼스 추진위원회(가칭)'를 구성하고 교수, 학생, 직원 등 학내 구성원이 참여하는 협의체, 시흥시와의 협의체를 만들어 캠퍼스 계획을 구체화할 예정이다. 지난 7월 학내 여론조사를 토대로 ‘시흥캠퍼스 전면철회’를 요구했던 서울대 총학생회 쪽은 ”반대 기조를 유지한채 논의를 거쳐 대응 방향을 결정하겠다”고 말했다.
홍용덕 박수지 기자
ydho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