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가 제주시 구도심 공공청사 용지에 1200세대 규모의 공공임대주택 건설을 추진하는 가운데 교통·주차난 등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제주도 제공
제주도가 제주시 구도심에 있는 시민복지타운 내 공공청사터에 1200세대 공공임대주택 건설 사업을 추진하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구도심의 교통난과 주차난 심화 등 부작용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도는 제주시 도남동 제주시청사 예정터 4만4000㎡ 가운데 3만8000㎡에 공공시설과 공공임대주택의 복합건물을 짓겠다고 29일 밝혔다. 도가 구상하는 공공임대주택은 1200세대 규모로, 행복주택 700세대, 10년 공공임대주택 420세대, 공공실버주택 80세대 등이다.
도는 이 사업에 2000억원의 사업비가 들어갈 것으로 보고, 지난달 국비 지원을 위해 국토교통부 행복주택 공모에 제안서를 냈으며, 다음 달 중순 공모에 선정되면 도시계획·주택 전문가, 인근 주민, 공무원 등으로 태스크포스를 구성해 11월까지 마스터플랜을 짠다는 계획이다. 이어 내년 2월까지 마스터플랜에 대한 공론화 과정을 거친 뒤 행정절차를 밟아 내년 12월 공사에 들어가 2019년 말 입주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도는 국토부 공모에 신청한 직후인 지난 1일 원희룡 지사가 정책박람회에서 사업 계획을 ‘깜짝 발표’한 뒤 잇따라 구체적인 계획을 내놓는 등 일방적으로 추진해 비판을 사고 있다.
또 사업계획 가운데 공공임대주택 420세대는 10년 임대에 5년 뒤 분양할 수 있도록 계획해 부동산 투기를 부추길 우려도 있다. 특히 이 사업터는 애초 중앙공원 용지에서 제주시청사 이전 용지, 제주디자인센터 건립 용지 등으로 여러 차례 용도가 바뀌어 행정의 신뢰성도 떨어졌다.
보다 심각한 문제는 교통난이다. 현재도 출퇴근 시간대에 교통정체 현상이 빚어지고 있는 가운데 1200세대가 들어서면 세대당 차량 1대만 소유해도 1200대가 증가하게 된다. 또, 인근 지역에 도남주공연립 재건축(426세대)과 이도주공아파트 2·3단지 재건축(858세대)이 이뤄지고 있거나 이뤄질 예정이다. 이들 사업이 마무리되면 모두 2500여세대나 늘게 돼 교통난이 가중될 전망이다.
인근 지역 시민들은 “현재 계획대로라면 교통체증이 심각해져 구도심이 거대한 주차장으로 전락할 수도 있다. 행복주택을 지으려면 외곽지역에 지어 그 지역을 발전시키는 게 낫다. 공원이 없는 구도심에 공원을 조성해 시민들의 휴식처로 만드는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허호준 기자
hojoo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