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 뜬 자리 속속 개발·입주…‘공동화’ 우려 불식
정부의 공공기관 지방이전 정책으로 자칫 ‘공동화’가 우려됐던 경기도 성남시내 공공기관 터에, 대체 입주와 계획 개발이 조만간 모두 마무리될 것으로 보인다.
6일 성남시의 말을 종합하면, 한국가스공사는 2014년 대구 이전 뒤 방치됐던 분당구 정자동 옛 사옥 터의 원활한 매각을 위해 개발 계획을 세워 시와 이견을 조율 중이다.
가스공사는 1만6726㎡의 옛 본사 터에 중견기업을 유치할 수 있는 업무시설과 공공산후조리원이나 의료관광센터 등 공공시설은 물론, 주거시설 등이 들어설 수 있도록 개발할 예정이라고 시에 전해왔다.
가스공사 쪽은 “도시관리계획 변경을 통해 개발 계획이 확정될 경우 개발이익을 지역사회에 환원할 수 있는 방안도 함께 모색하겠다”는 방침도 덧붙였다고 시는 전했다.
성남지역에서 이전한 한국도로공사 202,904㎡의 터에는 ‘제2 판교테크노밸리’가 들어설 예정이다. 이는 창업 기업을 지원하는 ‘창조공간’, 맞춤형 사업장을 제공하는 ‘성장공간’(4만㎡), 글로벌 기업들과 교류를 할 수 있는 ‘글로벌 공간’(7만㎡) 등 모두 6개 공간으로 이뤄지는데 2020년께 모든 공사가 마무리된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 자리(4만5728㎡)에는 분당서울대병원의 헬스케어창조클러스터가 조성되며, 한국식품연구원(11만2861㎡) 터에는 주택시설과 공공시설이 함께 건설돼 일부는 성남시에 기부채납될 예정이다. 이 밖에 한전기공(6812㎡) 건물은 국내 중견 아이티(IT)기업 사옥으로 매각돼 기업체로 활용 중이다.
성남시 관계자는 “대규모 공공기관이 지방이전으로 지역경제에 상당한 타격이 예상됐으나, 이들 기관이 떠난 자리에 기업유치와 함께 공공·주거시설이 잇따라 들어서게 돼 우려했던 도심 공동화를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현재 가스공사의 개발 계획 제안을 긍정적으로 검토 중이며, 도시관리계획 변경이 끝나면 성남시내 공공기관 지방이전은 모두 마무리될 것”이라고 말했다. 성남/김기성 기자 player009@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