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지역 90여개 시민사회단체와 야5당은 12일 경남도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홍준표 경남지사에게 도지사직을 자진해서 사퇴하라고 요구했다.
‘성완종 리스트’ 사건과 관련해 1심 재판에서 징역 1년6개월 실형을 선고받은 홍준표 경남지사에게 도지사직에서 스스로 물러나라는 압박이 갈수록 강해지고 있다. 심지어 홍 지사를 구속 상태에서 재판받도록 하라는 요구도 나오고 있다. 하지만 홍 지사는 사퇴하지 않을 것이라고 명확히 밝혔다.
경남진보연합, 경남여성연대, 민주노총 경남본부, 전농부경연맹 등 경남지역 90여개 시민사회단체와 야5당은 12일 경남도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홍 지사에게 자진해서 사퇴하라고 요구했다.
이들은 기자회견문에서 “홍 지사는 실형을 선고받음으로써 경남도민의 신뢰와 명예를 실추시켰다. 홍 지사가 사퇴해야 깨끗한 도정이 실현될 수 있고, 민주적 도정을 이룰 수 있으며, 경남도민의 자존심을 회복하고 상처를 치유할 수 있을 것이다. 홍 지사는 더는 경남도민을 욕보이지 말고 깨끗이 사퇴하라”고 요구했다.
이날 오전 정영훈 더불어민주당 경남도당 위원장, 전진숙 친환경 무상급식 지키기 경남운동본부 상임대표 등은 서울중앙지법에 홍 지사를 구속하라고 촉구하는 탄원서를 냈다. 탄원서에는 경남지역 시민사회단체 대표 337명이 서명했다.
이들은 탄원서에서 “1심 판결 이후 홍 지사의 ‘노상강도’ 발언 등 태도는 사법정의에 대한 국민의 신뢰를 심각히 훼손하는 것으로, 항소심에서 자신에게 불리한 증거를 인멸하거나 자신에게 유리한 증거를 창출할 가능성이 높다. 1심 재판부는 도주 가능성이 높지 않고 도지사 업무수행 필요성을 고려해 법정구속시키지 않았으나, 현재 모습을 볼 때 증거인멸 우려가 급격히 올라갔으며, 도지사의 신뢰가 바닥에 추락해 업무수행을 위한 불구속 필요성이 현저히 떨어졌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날 아침 홍 지사는 경남도 간부회의에서 “경남을 위해 더 일하라는 운명이라 생각하고, 경남도정에 더 매진하겠다. 공직생활 34년을 하면서 수많은 위기와 고난이 있었고, 항상 논쟁의 중심에 있었다. 그럴 때마다 위기를 돌파했으며, 이번 일은 그리 중차대하게 보지 않으며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 사건이다. 이 정도 일에 무너지거나 좌절할 사람도 아니고, 쉽게 당할 사람도 아니니, 지사를 믿고 흔들리지 말고 업무수행에 만전을 기해주길 바란다”며 도지사직에서 물러날 뜻이 없음을 분명히 했다. 글·사진 최상원 기자
csw@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