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14개 시민사회단체, 13일 오전 민주노총 제주본부에서 도민행동 출범식
“도민 공론화 없이 일사천리 추진 안 돼”…반대대책위는 ‘부실 용역’ 지적
“도민 공론화 없이 일사천리 추진 안 돼”…반대대책위는 ‘부실 용역’ 지적
제주 제2공항 건설 예정지인 서귀포시 성산읍 주민들이 반발하는 가운데 제주 시민사회단체들이 제2공항 전면 재검토 ‘도민행동’을 결성해 본격 활동에 나선다. 제2공항 건설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제주참여환경연대와 제주주민자치연대, 제주환경운동연합 등 제주지역 14개 시민사회단체는 13일 오전 10시 민주노총 제주본부 대회의실에서 ‘제2공항 전면 재검토와 새로운 제주를 위한 도민행동’ 출범식을 연다고 12일 밝혔다.
이들 단체는 “국토교통부와 제주도가 지난해 성산읍 일대에 제주 제2공항 건설계획을 전격 발표한 뒤 해당 지역 주민들이 정부의 계획에 강력히 반발하며 또다시 국책사업으로 도민사회의 갈등이 불거지고 있다”고 밝혔다. 이들은 “지속가능한 발전에 기반을 둔 새로운 제주의 비전에 있어 제2공항은 걸림돌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아 도민행동을 출범시키게 됐다”며 출범 배경을 설명했다.
이들은 “제2공항이 건설될 경우 제주도의 환경·생태계 용량이 감당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의심이 퍼지고 있다. 이미 관광객 급증으로 하수처리와 쓰레기 처리 용량 초과로 도민들이 고통받고 있다”고 말했다.
이들은 “제주섬에 2개의 국제공항이 과연 적당한지 도민 공론화 과정 없이 제2공항이 일사천리로 추진되고 있다”며 “도내 시민사회단체들은 오랫동안 토론을 통해 제2공항 계획을 원점에서 재검토해야 한다는 결론에 이르렀다”고 밝혔다.
한편 제주 제2공항 성산읍 반대대책위원회는 이날 오전 제주도의회 도민의 방에서 제주공항 인프라 확충 사전타당성 연구 부실 용역 설명회를 열어 입지 선정 과정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대책위는 “제2공항 터 선정과 관련해 ‘제주공항 인프라 확충 사전타당성 연구용역’은 평가 기준과 적용의 자의성, 허위 또는 잘못된 자료의 인용 등 기본 요건이 모자란 부실 용역”이라며 “사전타당성 연구용역에 대해 주민과 전문가, 시민사회단체 등의 참여로 공정하고 객관적으로 검증하는 과정을 밟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대책위는 “제주도는 제2공항 건설을 기정사실로 여기며 추진하는 모든 행정행위를 중단하고, 국회와 도의회, 각 정당은 국정감사 등을 통해 주민들이 제기하는 용역과정의 문제점을 철저히 조사하라”고 요구했다. 허호준 기자 hojoo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