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치경쟁 ‘과열’ 탈락도시 ‘반발’ 이전기관 ‘난색’
수도권의 공공기관이 옮겨갈 혁신도시 선정이 자치단체 간 과열경쟁 등으로 늦어지는가 하면 어렵게 혁신도시를 선정작업을 마친 일부 자치단체는 탈락 도시의 반발 등 심각한 후유증을 앓고 있다.
경남·전북, 입지 정하고도 건교부·지자체 반발에 ‘끙끙’
이전 공공기관 버티는 충북·부산·울산은 선정도 못해 선정 후유증 속출=경남은 31일 진주(106만평)·마산(50만평) 등 두 곳에 각각 혁신·준혁신도시를 건설해 12개 공공기관을 나눠 유치하겠다고 발표했으나 하루만에 건설교통부가 “두 곳에 공공기관을 이전할 수 없다”고 못박아 자칫 혁신도시 선정을 다시 해야 할 상황에 내몰렸다. 도는 “8월 건교부와 이전대상 공공기관 간에 체결된 협약서엔 지역 특수성을 감안해 3개기관까지 개별이전을 허용하기로 했다”고 주장하고 있으나 건교부는 “도가 개별 이전문제를 사전에 협의한 적이 없다”며 반대 방침을 분명히 했다. 2위 점수를 얻고도 준혁신도시에서 탈락한 김해시의원 10여명은 혁신도시 발표 당일 도청 프레스센터로 몰려와 “혁신도시 선정을 무효화하고 채점표를 공개하라”고 촉구한 뒤 “밀실야합의 결정이 바로 잡히지 않으면 강력 대응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전북도는 지난달 28일 토지공사 등 13개 기관이 들어설 혁신도시의 입지로 완주군 이서면 및 전주시 중동·만성동 지역(약 488만평)을 결정했으나 탈락한 자치단체의 거센 반발을 사고 있다. 2순위를 차지한 익산시는 채규정 시장이 발표 당일 도청에서 재심의를 촉구하며 삭발했으며, 5순위를 차지한 정읍시도 “수도권 과밀해소를 위해 지역에 배분된 공공기관들을 전주지역 주변에 배치해 지역내 균형발전을 외면했다”고 반발했다. 늦어지는 선정작업=울산시는 애초 지난달 말까지 혁신도시 한 곳을 선정할 예정이었으나 이전 공공기관 노조관계자 30여명이 선정절차에 문제가 있다며 후보지 결정 연기를 요구하는 등 공정성 시비가 불거진데다 정치권까지 연일 공방을 벌여 공식 발표를 하지 못하고 있다.
부산시도 지금까지 강서구와 기장군, 해운대구 등에 후보지를 물색하고 있으나 혁신지구 유치를 둘러싼 구·군 간의 경쟁 등으로 진전을 보지 못하고 있으며, 광주시와 전남도도 그동안 후보지 6곳 가운데 나주 금천면, 장성 황룡면, 담양 수북면 등 3곳까지 압축했으나, 애초 후보지에 들지 못했던 전남 동부권과 중부권 등지 주민의 반발로 11월 중순으로 발표를 늦췄다. 혁신도시 선정을 9월 말까지 마무리하기로 했던 충북도는 최종 선정을 이달 말로 다시 연기했다. 이는 청원·오송 등 청주·청원권으로 이전을 바라는 이전공공기관들과 청주권 이외의 지역으로 분산하려는 충북도가 팽팽히 맞서고 있기 때문이다. 강원도는 김진선 도지사가 혁신도시 입지선정위원들이 특정 대학 소속 교수들로 구성돼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는 등 잡음이 잇따르자 28일 위원 20명 모두를 해촉했다. 경북도는 입지선정위원회가 다른 지역보다 15일∼1개월 늦은 9월 23일에야 출범한데다 도가 중저준위 방사성 폐기물 처분시설(방폐장) 유치에 총력을 기울이면서 선정작업이 더디게 진행되고 있다. 제주도는 5일 국제교류재단을 비롯해 제주 이전 대상인 10개 공공기관이 들어설 혁신도시 후보지를 확정해 발표할 예정이다. 이에 앞서 제주도 입지선정위원회는 애초 지난달 14~15일 혁신도시 입지를 결정키로 했었으나 공공기관 노조의 반발과 후보지 선정에 따른 위원들의 의견이 엇갈려 평가기준안도 마련하지 못한 바 있다. 창원/김광수 기자, 전국종합kskim@hani.co.kr
이전 공공기관 버티는 충북·부산·울산은 선정도 못해 선정 후유증 속출=경남은 31일 진주(106만평)·마산(50만평) 등 두 곳에 각각 혁신·준혁신도시를 건설해 12개 공공기관을 나눠 유치하겠다고 발표했으나 하루만에 건설교통부가 “두 곳에 공공기관을 이전할 수 없다”고 못박아 자칫 혁신도시 선정을 다시 해야 할 상황에 내몰렸다. 도는 “8월 건교부와 이전대상 공공기관 간에 체결된 협약서엔 지역 특수성을 감안해 3개기관까지 개별이전을 허용하기로 했다”고 주장하고 있으나 건교부는 “도가 개별 이전문제를 사전에 협의한 적이 없다”며 반대 방침을 분명히 했다. 2위 점수를 얻고도 준혁신도시에서 탈락한 김해시의원 10여명은 혁신도시 발표 당일 도청 프레스센터로 몰려와 “혁신도시 선정을 무효화하고 채점표를 공개하라”고 촉구한 뒤 “밀실야합의 결정이 바로 잡히지 않으면 강력 대응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전북도는 지난달 28일 토지공사 등 13개 기관이 들어설 혁신도시의 입지로 완주군 이서면 및 전주시 중동·만성동 지역(약 488만평)을 결정했으나 탈락한 자치단체의 거센 반발을 사고 있다. 2순위를 차지한 익산시는 채규정 시장이 발표 당일 도청에서 재심의를 촉구하며 삭발했으며, 5순위를 차지한 정읍시도 “수도권 과밀해소를 위해 지역에 배분된 공공기관들을 전주지역 주변에 배치해 지역내 균형발전을 외면했다”고 반발했다. 늦어지는 선정작업=울산시는 애초 지난달 말까지 혁신도시 한 곳을 선정할 예정이었으나 이전 공공기관 노조관계자 30여명이 선정절차에 문제가 있다며 후보지 결정 연기를 요구하는 등 공정성 시비가 불거진데다 정치권까지 연일 공방을 벌여 공식 발표를 하지 못하고 있다.
부산시도 지금까지 강서구와 기장군, 해운대구 등에 후보지를 물색하고 있으나 혁신지구 유치를 둘러싼 구·군 간의 경쟁 등으로 진전을 보지 못하고 있으며, 광주시와 전남도도 그동안 후보지 6곳 가운데 나주 금천면, 장성 황룡면, 담양 수북면 등 3곳까지 압축했으나, 애초 후보지에 들지 못했던 전남 동부권과 중부권 등지 주민의 반발로 11월 중순으로 발표를 늦췄다. 혁신도시 선정을 9월 말까지 마무리하기로 했던 충북도는 최종 선정을 이달 말로 다시 연기했다. 이는 청원·오송 등 청주·청원권으로 이전을 바라는 이전공공기관들과 청주권 이외의 지역으로 분산하려는 충북도가 팽팽히 맞서고 있기 때문이다. 강원도는 김진선 도지사가 혁신도시 입지선정위원들이 특정 대학 소속 교수들로 구성돼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는 등 잡음이 잇따르자 28일 위원 20명 모두를 해촉했다. 경북도는 입지선정위원회가 다른 지역보다 15일∼1개월 늦은 9월 23일에야 출범한데다 도가 중저준위 방사성 폐기물 처분시설(방폐장) 유치에 총력을 기울이면서 선정작업이 더디게 진행되고 있다. 제주도는 5일 국제교류재단을 비롯해 제주 이전 대상인 10개 공공기관이 들어설 혁신도시 후보지를 확정해 발표할 예정이다. 이에 앞서 제주도 입지선정위원회는 애초 지난달 14~15일 혁신도시 입지를 결정키로 했었으나 공공기관 노조의 반발과 후보지 선정에 따른 위원들의 의견이 엇갈려 평가기준안도 마련하지 못한 바 있다. 창원/김광수 기자, 전국종합kski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