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현식 경남도선거관리위원회 홍보과장이 26일 선관위원 회의 직후 “홍준표 경남지사를 대상으로 하는 주민소환투표 청구를 각하한다”는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홍준표 경남지사를 주민 소환하기 위해 지난해 7월부터 추진된 시민운동이 유효서명 0.31% 부족으로 주민소환투표 문턱에서 끝내 실패했다. 홍 지사의 정장수 비서실장은 “일부 좌파세력의 실패한 쿠데타”라고 말했다.
경남도선거관리위원회는 26일 선관위원 회의를 열어 “주민소환투표를 청구하는 서명의 유효건수가 요건을 채우지 못했다”며 홍 지사를 대상으로 하는 주민소환투표 청구를 각하했다. 이로써 ‘성완종 리스트’ 관련 1심 재판에서 징역 1년6개월 실형을 선고받고 2심 재판을 준비하는 홍 지사로선 일단 급한 불을 끄고 한숨 돌리게 됐다.
홍 지사를 상대로 주민소환투표를 하려면 2015년 12월31일 기준 경남 전체 공직선거 유권자 271만316명의 10%인 27만1032명 이상이 서명해야 한다. ‘홍준표 경남지사 주민소환운동본부’는 지난해 7월23일부터 서명운동을 시작해 35만4651명의 서명을 경남도선관위에 냈다. 하지만 경남도선관위 심사 결과, 이름·생년월일·주소 등을 모두 정확히 적어 유효 처리된 서명은 전체 유권자의 9.69%인 26만2637명인 것으로 확인됐다. 투표요건에 0.31%(8395명) 부족했다.
강성진 주민소환운동본부 상황실장은 “최선을 다해 서명운동을 벌였는데, 이런 결과가 나와 매우 아쉽다. 주민소환 운동 과정에서 많은 경남도민이 도정에 관심을 갖게 됐고, 앞으로 더 많은 관심을 가질 것이기에 결과적으로 실패한 운동이라고 보지는 않는다”고 말했다.
홍준표 경남지사의 정장수 비서실장. 정 실장은 26일 홍 지사를 대신해 기자회견을 열어 주민소환투표가 무산된 것을 “일부 좌파세력의 실패한 쿠데타”라고 말했다.
홍 지사의 정장수 비서실장은 기자회견을 열어 “더 이상 복지 포퓰리즘은 안된다는 저의 정치 소신에 대한 경남도민의 정의로운 평가라고 생각한다. 앞으로 닥칠 어떠한 어려움도 극복해 나갈 것”이라고 홍 지사의 뜻을 대신 밝혔다. 정 실장은 “몇 가지 첨언을 하겠다”며, 주민소환투표가 무산된 것을 “일부 좌익세력의 실패한 쿠데타”로 규정하고 “도민에게 석고대죄를 해도 시원찮을 일”이라고 말했다.
이에 앞서 더불어민주당·국민의당·정의당 경남도당은 각각 성명과 기자회견을 통해 “주민소환투표 청구는 각하되었지만 30만명에 가까운 경남도민이 홍 지사의 도정에 실망하고 분노했다는 사실은 없어지지 않는다” “홍 지사는 이미 경남도민으로부터 정치적 소환을 당했다. 안정적 도정을 위해서라도 사퇴하는 것이 옳다”고 밝혔다.
주민소환운동본부는 지난해 7월16일 “무상급식 중단, 공공의료기관인 진주의료원 폐원 등 권력남용과 독단으로 인한 비민주적 전횡이 극에 달해 주민소환을 통해서 바로잡을 필요가 있다”며 경남도선관위에 주민소환투표 청구인 대표자 증명서 교부 신청을 하면서 공식적으로 주민소환 운동을 시작했다. 선출직 지방공무원을 주민들이 투표를 통해 끌어내리는 주민소환 제도가 2007년 도입된 이후, 광역자치단체장을 상대로 한 주민소환 운동은 2009년 강정마을 해군기지 건설과 관련해 김태환 제주지사를 대상으로 추진한 이후 처음이다. 글·사진 최상원 기자
csw@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