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수 100인 시민위원회가 27일 여수시청에서 낭만포차 개선방안을 두고 원탁토론을 벌이고 있다. 사진 여수시청 제공
절반의 성공으로 평가되는 전남 여수 낭만포차가 시민들의 원탁토론에 올랐다.
여수시는 27일 시청 3층 회의실에서 100인 시민위원회를 열어 여수 밤바다 낭만포차의 성과와 한계를 토의했다고 밝혔다.
시민위원회는 지난달 31일 지역별 직능별 연령별로 할당한 일반시민 100명으로 구성됐다. 이들은 1년 단임으로 정책 시행 이전에 의견을 내거나 논란 중인 현안 사업에 검증을 시도한다. 위원회 안에는 도시교통·관광문화·기획행정 등 5개 분과가 설치됐다.
이날 시민들은 관광객을 끌어들이는 데 성공했지만 무질서와 교통난 등 부작용을 초래한 낭만포차사업의 개선안을 두고 의견을 나눴다.
특히 △사업자 전용 주차장 설치 △노상 유료 주차장 설치 △해양공원 금연 지역 추가 지정 △버스커 공연장 반투명 지붕의 명칭 등에 초점을 맞췄다.
시는 회의가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일주일 전 8쪽짜리 자료를 배포해 안건을 공유하고 의견을 준비하도록 했다. 이 토론은 결정 사항보다는 시정에 참여해 자치를 경험하는 과정이라는 점에서 눈길을 끌었다. 풀뿌리 민주주의를 실현하는데 지방의회나 시민단체에서 놓친 분야를 보완할 수 있으리라는 기대 때문이다. 일부에서는 현 시장과 가까운 인사들이 주로 참여한 친위조직이라는 비판도 있다.
시는 이날 나온 의견들을 모아 현실성을 검토한 뒤 정책 수립과 사업 개선에 반영하기로 했다.
시는 지난 5월 야간 풍광이 뛰어난 해양공원 일대에 취약계층이 자립할 일자리를 주고, 색다른 먹거리를 제공하겠다며 낭만포차를 열었다. 하지만 두 달 만에 여수 밤바다에 낭만을 더하겠다는 애초 목적과는 달리 밤마다 술판이 벌어지고 무질서가 판친다는 비판에 직면했다.
여수시민협은 지난 7월 시민들의 반발이 잇따르자 낭만포차를 국민권익위원회에 고발하기도 했다. 당시 시민협은 “낭만포차가 시민의 보행권을 침해하고 무질서와 주차난을 조장한다”며 개선을 촉구했다.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