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의 한국사학진흥재단, 한국학중앙연구원 등의 국정감사에서 이기동 한국학중앙연구원 원장이 더불어민주당 유은혜 의원의 질문 답변 도중 화장실로 향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 원장, 국회 교문위 국감서 “4·3은 공산폭동” 규정
제주4·3연구소 “이 원장 발언은 오류의 극치” 지적
제주4·3연구소 “이 원장 발언은 오류의 극치” 지적
교육부 산하 한국학중앙연구원(한중연) 이기동 원장이 제주 4·3사건을 ‘공산폭동’이라고 언급한 데 대해 제주4·3연구소가 3일 이 원장의 사퇴와 사과를 촉구했다.
제주4·3연구소는 이날 이 원장 발언과 관련해 규탄 성명을 내고 “왜곡된 역사인식을 가진 인사가 한국학 진흥과 민족문화 창달이라는 임무를 지닌 한중연 원장이라는 사실에 놀라지 않을 수 없다"며 이 원장의 사퇴를 요구했다. 이는 지난달 29일 국회 교육문화관광체육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오영훈 의원(더민주·제주시 을)의 질의에 대해 이 원장이 4·3 관련 발언을 쏟아내면서 나왔다.
이 원장은 “공산 폭도 세력들에 의해 4·3사건이 일어났느냐”는 오 의원의 질문에 “그렇게 본다”며 4·3사건을 공산폭동으로 규정했다. 이 원장은 “정부가 공식 인정한 희생자가 1만4천여명인데 다 공산 폭도라는 것이냐”는 오 의원의 거듭된 질문에도 “"공산 폭도들에게 위협당한 것”이라며 입장을 굽히지 않았다.
제주4·3연구소는 “이 원장의 발언은 4·3의 역사적 사실에 대한 오류의 극치를 보여줬다. 역사적 진실을 봐야 할 사학자가 4·3을 왜곡된 시선으로 바라보는데 놀라움을 넘어 분노하지 않을 수 없다"고 지적했다.
연구소 쪽은 또 “한중연이 지난해 말 자체 발간한 <광복 70년사> 시리즈에 제주 4·3에 대한 부정적 평가 등 역사 왜곡을 한 서술이 드러났다. 이것이 국정 역사교과서에 포함되는지를 주시할 것이며, 이에 포함된다면 가능한 한 모든 방법을 통해 투쟁할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소는 이 원장에게 “제주도민에게 사과할 것”도 촉구했다.
허호준 기자 hojoo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