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성중 의원 “안전처 ‘소셜빅보드’에 재난경보 기능 없어"
안전처 “연구·개발용…소셜미디어로 전파시 혼란 야기”
안전처 “연구·개발용…소셜미디어로 전파시 혼란 야기”
정부가 14억 원을 들여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활용한 재난상황 대비 시스템을 마련해 놓고도 정작 재난 예방·경보에는 활용할 수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7일 국회 안전행정위원회 소속 박성중 새누리당 의원은 “국민안전처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보면, 정부는 이미 지난 2013년부터 재난 상황에 SNS를 활용하기 위한 투자를 해왔지만 정작 조기 재난경보 기능은 없다”고 주장했다.
박 의원이 공개한 자료를 보면, 안전처 산하기관인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이 4년 동안 총 14억원의 예산을 들여 트위터를 실시간으로 수집·분석해 71개 재난안전유형으로 분류한 뒤 재난이슈를 모니터링하고 재난 예측을 위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소셜빅보드’ 사업을 진행했다. 재난분야에서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재난관리 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목적이었다.
그러나 이 데이터는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일부 학계 전문가 등 37개 기관에만 공개될 뿐 재난에 대처해야 하는 일반 국민들은 접근이 불가능하다. 특히 SNS를 활용하면서도 재난 정보를 전파하는 기능은 제공되지 않는다. 미국·호주 정부 등은 SNS를 활용해 초기 재난 상황을 일반인들에게 빠르게 전파하고 있다.
이에 대해 안전처는 “소셜빅보드는 조기경보 등 실시간 상황관리 기능이 아니라 재난안전 연구·개발 수행을 위한 기초 데이터 제공을 목적으로 개발된 것”이라며 “소셜미디어에서는 정확하지 않은 정보가 재전파를 통해 왜곡될 가능성이 높은 등 신뢰성을 보장할 수 없어 정부기관의 공식적인 정보로 대국민 서비스를 한다면 오히려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원낙연 기자 yanni@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