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수시, 민의 수렴해 희생자 위령제 주관
19일부터 위령제·학술대회 등 추념 행사 다채
19일부터 위령제·학술대회 등 추념 행사 다채
여순사건 희생자 위령제가 68년 만에 여수시 주관으로 열린다.
여수시는 19일 오전 10시 여서동 미관광장에서 유족과 시민 등 200여명이 참석하는 여순사건 68주기 희생자 위령제를 올린다고 18일 밝혔다. 여순사건 위령제는 여태껏 민간 주도로 열리다 이번에 처음으로 여수시가 주관한다. 취임 이후 2년 동안 위령제에 가지 않은 주철현 여수시장도 이번엔 참석해 추모사를 한다. 위령제는 전통제례인 추모제로 시작한 뒤 원불교·천주교·불교 등 3대 종교 의례, 유족회장과 여수지역 정치인들의 추모사, 분화와 헌향 순으로 진행된다.
여순사건 희생자는 1948년 10월19일 여수 주둔 14연대 소속 군인들의 반란으로 시작해 1950년 9월28일 수도였던 서울이 수복되기 이전까지 여수·순천·구례 등지에서 무고하게 희생된 사람을 이른다. 순천 위령제는 20일 오후 2시 순천시 팔마체육관에 있는 위령탑 앞에서 열린다. 구례 위령제는 24일 오전 11시 구례읍 봉남리 봉성산 위령탑에서 거행한다.
이 사건을 다룬 학술토론회도 21일 오후 3시 여수여성인력개발센터에서 열린다. 희생자 유족과 전문 연구자 7명이 ‘여순사건의 새로운 모색’이라는 주제로 발표와 토론을 펼친다. 이영일 여수지역사회연구소장은 여순사건 진상규명의 실제와 과제를 두고 토론을 이끈다. 앞서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는 2005~2010년 이 사건을 조사한 뒤 위령사업 지원, 역사기록 정정, 평화인권 교육 등을 국가에 권고했다.
장완익 해마로 법인 대표변호사는 여순사건 특별법안의 내용과 방향을 설명하고, 황순경 여순사건 여수유족회장은 국가를 상대로 한 희생자 유가족의 소송 진행 상황과 미신청 사례들을 보고한다. 여수지역사회연구소 쪽은 “민의를 의식해 여수시가 처음으로 위령제를 주관하게 된다. 이를 계기로 추모·위령·조사·연구 등 사업들이 조례로 뒷받침돼야 한다”고 밝혔다.
여수시의회는 지난 2014년 ‘여순사건 민간인 희생자 위령사업 지원 등에 관한 조례안’을 발의했다. 정부와 국회에서 여순사건 특별법 제정과 과거사정리위원회의 권고를 외면하고 있는 만큼 무고한 희생자의 위령사업을 자치단체라도 지원해야 한다는 뜻이다. 이 조례안은 보수단체의 반발로 2년 동안 통과되지 못했다. 순천시와 구례군은 2006년 나란히 위령탑을 세웠고, 관련 조례를 2015년과 2016년에 각각 제정했다.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