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수 창원시장 “조례 만들어 10월18일을 기념하겠다” 발표
경남 창원시가 1979년 박정희 군사정권의 유신독재를 무너뜨린 도화선이 된 부마민주항쟁이 경남 창원(옛 마산)에서 일어난 날을 기념일로 지정하기로 했다. ‘부마민주항쟁 관련자의 명예회복 및 보상 등에 관한 법률’(2013년 6월4일 제정)과 경남도의 ‘민주화운동 기념에 관한 조례’(2011년 12월29일 제정) 등 부마민주항쟁 관련 법과 조례는 이미 만들어져 있으나, 공식기념일을 지정하기는 처음이다.
안상수 경남 창원시장은 지난 18일 저녁 ‘부마민주항쟁 37주년 기념식’에서 “부마민주항쟁은 한국 민주주의의 가치를 드높이고 민주화를 앞당긴 역사적 사건이다. 부마민주항쟁 발발일은 3·15 의거에 버금가는 역사적인 날이므로 창원시를 상징하는 기념일로 크게 키워나가야 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창원시는 올해 안에 조례를 만들어 부마민주항쟁이 옛 마산에서 일어났던 10월18일을 기념일로 지정하기로 했다. 조례에는 부마민주항쟁기념식을 창원시 주관으로 열고, 항쟁의 위상 강화를 위해 노력하며, 부마민주항쟁기념사업회에 사무실과 활동을 지원하는 등의 내용이 담길 예정이다.
부마민주항쟁은 1979년 10월16일 부산에 이어 18일 경남 창원(옛 마산)에서 시민들이 ‘유신 철폐’ ‘독재 타도’를 외치며 거리시위에 나서면서 시작됐다. 박정희 유신정권은 18일 부산에 계엄령을, 20일 마산에 위수령을 발동하며 군부대를 투입해 시위대를 무자비하게 진압했다. 이 과정에서 3명(비공식 집계)이 숨졌으며 부산 1058명, 마산 505명 등 1563명이 연행돼 87명이 군법회의에 넘겨졌고 20명이 실형을 선고받았다. 박정희 당시 대통령은 10월26일 밤 서울 궁정동 안가에서 김재규 중앙정보부장의 총에 맞아 숨졌고, 유신독재는 막을 내렸다.
안상수 시장은 “자유는 그냥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는 말처럼, 부마민주항쟁은 우리나라 민주주의 기본이념의 바탕일 뿐 아니라 민주성지인 우리 지역의 자존심과 혼이 깃든 커다란 자산”이라고 강조했다. 최상원 기자 csw@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