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양희 충북·윤석우 충남도의장 공동 성명
“44㎞ 안에 KTX역 3개, 저속 완행열차 전락”
“44㎞ 안에 KTX역 3개, 저속 완행열차 전락”
“44㎞ 안에 고속철도(케이티엑스)역 3곳이면, 고속열차가 아니라 저속 완행열차지요.”
충청남북도 지방의회가 케이티엑스(KTX) 세종역 백지화를 위해 한목소리를 냈다. 두 지방의회가 중간에 끼어 있는 세종시를 강하게 압박하는 모양새다.
윤석우 충남도의회의장, 김양희 충북도의회의장, 윤홍중 충남 공주시의회의장, 황영호 충북 청주시의회의장 등은 24일 케이티엑스 세종역 백지화 촉구 공동 성명서를 냈다. 이들은 성명에서 “한국철도시설공단이 최근 세종역 신설 타당성 조사를 의뢰하면서 충청권 균형·상생 발전에 역행하고 있다. 정부 세종청사 공무원의 교통 편익을 위해 세종역을 신설하려는 공약과 논의는 바로 백지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또 “오송~공주역간 거리가 44㎞인데 세종역이 들어서면 20㎞대로 반분돼 철도시설공단이 발표한 적정 연간거리 57㎞, 최소 역 간 거리 42.7㎞ 원칙에 위배한다. 44㎞ 안에 고속열차 역 3곳 설치는 고속열차를 저속 완행열차로 전락하게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들은 “충청권 합의·공조 틀을 깨고 갈등을 유발하는 케이티엑스 세종역 논의를 중단하고, 타당성 조사를 철회하라”고 요구했다.
케이티엑스 세종역 설치는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의원(세종)이 지난 4월 국회의원 선거 공약으로 내놓은 데 이어, 지난달 29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의 한국철도시설공단 국정감사에서 타당성 조사 사실이 알려지면서 논란이 커지고 있다. 국감 당시 이 의원이 “세종시에 케이티엑스 역사가 없어서 공무원·시민 등이 불편을 겪고 있다. 세종시 관문 역이 필요하다”고 하자, 강영일 철도시설공단 이사장이 “8월에 타당성 조사에 착수해 기술적인 사항을 포함해 검토하고 있다. 결과에 따라 국토부와 협조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이시종 충북지사는 24일 확대간부회의에서 “세종역 저지는 양면 작전이 필요하다. 민관정 협의체와 시민단체가 현재 진행 중인 용역이 철회되도록 노력하고, 용역을 추진 중인 한국과학기술대 등에 신설 부당성에 대한 사전 자료 제공과 설득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새누리당은 이정현 대표를 앞세워 더불어민주당을 압박하고 있다. 이 대표는 지난 22일 충북방문에서 “케이티엑스는 속도가 핵심인데 역마다 서면 의미가 없다”며 세종역 설치 반대 뜻을 밝혔으며, 새누리 충북도당은 24일 “더민주는 중앙당 차원에서 케이티엑스 세종역 반대 당론을 정하라”고 밝혔다. 더민주 충북도당은 “세종역 설치는 어떤 경우에도 반대한다. 지금은 정치권과 민관정이 케이티엑스 세종역 저지를 위해 힘을 모아야 할 때”라며 공세를 피해갔다.
이에 대해 균형발전 지방분권 충북본부는 “더민주는 케이티엑스 세종역 백지화를 위해 제1야당으로서 책무를 다하라. 박근혜 대통령과 국토부는 세종역 타당성 조사를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세종참여연대는 소모적 정쟁·논란 중단을 요구했다. 김수현 세종참여연대 사무처장은 “세종역 문제는 충청권 공조의 틀 안에서 협의를 통해 풀어가야 한다”고 밝혔다.
오윤주 기자 sti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