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가 관광객 증가에 따른 제주의 자연보전을 위해 환경보전기여금 제도 도입을 검토하는 가운데 제주발전연구원이 도내 전문가집단을 상대로 조사한 설문조사 결과에서도 절대다수가 이 제도의 도입을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해 국내외 관광객 1300만명이 몰리는 제주도의 자연자산을 보전하고 관리하기 위해서는 환경보전기여금을 도입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강기춘 제주발전연구원장은 4일 오후 제주시 메종글래드 제주호텔에서 열린 ‘제주 자연가치 보전과 관광문화 품격 향상을 위한 전문가’토론회에서 환경보전기여금 도입의 필요성을 밝혔다.
이날 발표에서 강 원장은 제주발전연구원 사회조사센터가 지난달 학계와 도의회, 언론계, 시민사회단체 등 전문가 집단 16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를 공개하고 제주의 자연보전을 위한 환경보전기여금 찬성의견이 93.8%(150명)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응답자들은 환경보전기여금 부과에 찬성 이유에 대해 관광객 증가로 인한 환경처리비용 재원 마련(52.0%)과 자연환경보전을 위해서(23.3%)라고 꼽았다. 반면 이 제도의 시행에 반대하는 응답자들은 법·제도적으로 제도 시행의 어려움(30.0%)과 고비용 관광 이미지로 제주관광 성장 위축 우려(30.0%), 관광객 감소로 인한 제주경제 침체 우려(20.0%) 등을 들었다.
응답자들은 제주지역의 관광객 증가 이유를 청정한 자연환경(70.0%) 때문이라고 인식하는 경우가 압도적으로 많았고, 이어 저렴한 관광비용(15.6%), 잘 갖춰진 관광 인프라(10.6%) 등의 순으로 꼽았다. 또 환경보전기여금 부과 수준은 5천~1만원 미만(34.4%), 2천~5천원 미만(25.6%), 1만~1만5천원 미만(21.9%), 1만5천~2만원(15.0%)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허호준 기자
hojoo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