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4·3희생자유족회가 30일 오전 제주도의회 도민의 방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4·3사건 서술을 축소·왜곡한 국정 역사교과서와 정부를 규탄했다.
제주4·3유족들이 지난 28일 공개된 국정 역사교과서 현장검증본 내용 가운데 ‘제주4·3사건’ 관련 서술이 역사적 사실관계를 왜곡했다며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다. 유족들은 박근혜 정권 퇴진을 촉구하는 주말 촛불집회에 참석키로 하는 한편 교육부를 항의 방문하기로 했다. 제주도도 이례적으로 ‘도민에게 드리는 말씀’ 형식을 빌어 4·3 서술 축소를 비판했다.
제주4·3희생자유족회(회장 양윤경)는 30일 오전 제주도의회 도민의 방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국정 역사교과서가 ‘화해와 상생’이라는 유족의 간절한 바람을 짓밟고 도도히 흐르는 역사의 물줄기를 크게 훼손했다. 정부는 한국현대사 최대 비극인 제주4·3에 대한 축소·왜곡을 통해 얻고자 하는 게 무엇인지 명백히 밝혀야 한다”고 요구했다. 유족회는 또 “기존 검정교과서보다 후퇴한 국정 역사교과서를 보며 6만여 유족은 시대를 역행하는 정부의 반역사적 행태에 치솟는 분노를 금할 길이 없다. 이명박·박근혜 정부는 (대통령이) 단 한 차례도 4·3희생자 추념식에 참석하지 않고 도민과 유족들을 철저히 무시해왔다”고 비판했다.
유족회는 정부의 사과와 함께 역사 교과서에 4·3사건의 배경을 자세히 밝히고 진상규명 노력과 무고한 희생자의 규모를 명확하게 기술할 것을 요구했다. 양 회장은 “교육부를 항의방문해 국정 교과서의 폐기를 요청하겠다. 주말 촛불집회 때는 유족들이 참여해 도민들과 함께 정권 퇴진 운동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제주도도 이날 ‘도민에게 드리는 말씀’을 통해 “국정 역사교과서의 내용만으로 보면 제주4·3의 진실과 그 과정에서 수많은 도민이 어떻게 무고하게 희생됐는지 알 수 없다. 더욱이 4·3사건의 원인이 한쪽으로 치우쳐 보이게 하는 점, 희생자가 대부분 국가권력의 남용에서 발생했다는 사실이 설명되지 않은 점, 도민의 4·3해결 노력이 빠져 있는 점 등 미흡한 서술에 깊은 유감을 표한다”고 밝혔다.
도는 이어 “4·3사건에 대한 기술은 최소한 2000년 제정된 제주4·3특별법의 정신과 2003년 정부가 공식 채택한 ‘제주4·3사건진상조사보고서’를 충분히 반영해 이뤄져야 한다”며 “4·3으로 인해 도민들이 상처받는 일이 없도록 4·3유족을 비롯한 도민과 함께 하겠다”고 덧붙였다.
글·사진 허호준 기자
hojoo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