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탄핵과 함께 국정 역사 교과서를 탄핵해야 합니다.”
3일 오후 제주시청 앞 도로에서 열린 제7차 제주도민 촛불집회에 참석한 양윤경 제주4·3유족회장의 목소리는 단호함이 묻어났다. “국정 역사 교과서에 대해 얼마나 많은 국민이 반대해왔느냐. 커다란 사회적 논란이 일었는데도 그 과정에서 집필진도 공개하지 않았다. 우리는 국정 교과서를 만든다고 할 때부터 제주4·3사건의 진실 왜곡을 우려해왔다. 아니나 다를까 교육부가 발표한 국정 역사 교과서를 보고 도민과 함게 4·3유족들은 큰 충격을 받았다”고 말했다.
양 회장은 이날 촛불집회에 많은 4·3유족회원들과 함께 ‘4·3의 역사는 우리가 지킨다’라는 팻말을 목에 걸고 참가자들과 ‘박근혜 퇴진’을 외쳤다.
제주4·3유족회는 이미 국정 역사 교과서의 ‘제주4·3사건’ 기술 축소·왜곡과 관련해 기자회견을 열고 교육부 항의방문 등 강력하게 대응하기로 한 바 있다.
-박근혜 대통령의 3차 담화에 대한 평가는.
=3차 담화 발표 때까지 서울에서는 5차, 제주에서는 6차 촛불집회를 열었는데 돌아온 답이 뭐냐. ‘사익을 추구하지 않았다’, ‘사심이 없었다’는 3차 담화가 아니냐. (대통령의 담화를 보니까) 이 정도 촛불집회로는 안 되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지금 국민이 얼마나 성숙해 있나. 3차 담화는 국민을 우롱한 것이다. 치욕을 느낀다.
-(2선 후퇴 뒤) 4월 퇴진론 대 즉각 탄핵론에 대한 견해?
=대통령에게 더는 명분을 줄 이유가 없다. 4월까지 갈 이유가 없다. 정치권이 합의하지 못하고 협상도 안 되고 있다. 끌어내려야 한다. 정치권의 반성이 필요하다.
-다음 주에 박통이 (2선 후퇴 뒤) 4월 퇴진하겠다고 하면 촛불 계속 나올 거냐?
=국민 여론이 많이 약화할 수 있고, 국민이 속을 수 있다. 그러나 4월까지 가면 국민 목소리를 반영하는 게 아니다.
-탄핵 추진했다가 부결되면 정치권이 부담스러워 할 것이라는 견해에 대해선.
=부담스러운 건 정당이다. 국민이 부담스러운 게 아니다. 정치권이 할 역할을 못 하면 정치권을 탄핵해야 한다.
-박근혜 퇴진 후 사회개혁과제는.
=국민이 가장 바라는 게 뭔지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정치권에 대한 국민이 실망과 분노를 해결해야 한다. 국민이 불행하면 안 된다. 그게 안 보인다.
제주/허호준 기자
hojoo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