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교는 50곳 한국사 편성…교과서 불매 학생·학부모 등 위해 보완교재 검토
충북지역 모든 중학교가 내년 역사 과목에 국정교과서를 쓰지 않기로 했다. 교육 과정 수정이 쉽지 않은 고교 50곳은 내년 한국사 과목 국정교과서를 쓰기로 했지만, 충북교육청은 국정교과서 불매·거부 움직임을 보이는 학생·학부모 등을 위해 대안 교재를 마련하는 것도 검토하기로 했다.
충북교육청은 도내 중학교 128곳 모두 내년 역사 과목에 국정교과서를 쓰지 않기로 했다고 14일 밝혔다. 애초 도내 중학교 3곳이 1학년 과정에 역사 과목을 편성해 국정교과서 사용이 불가피했지만, 이들 학교도 내년 역사 과목을 편성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고교는 83곳 가운데 50곳이 한국사 과목에 국정교과서를 쓰기로 했다. 하지만 교육청은 ‘역사교육 바로 세우기 자문단’ 등을 통해 대안 마련도 검토하기로 했다. 자문단은 역사 교수, 교사, 시민단체, 학부모, 학생 등 23명으로 이뤄졌다. 19일 1차 협의회를 연다. 송기복 충북교육청 장학사는 “고교는 현실적으로 교육 과정 편성 수정이 쉽지 않고, 기존 2009년 교육 과정이 2015년 교육 과정으로 대폭 변화하면서 교과서 내용도 상당 부분 수정됐다. 국정교과서를 불매·거부하는 학생·학부모 등의 의견이 있어 보완 수업 교재, 보충 교재, 장학 자료 등을 개발해 수업에 활용하는 방안도 살피고 있다”고 말했다.
앞서 지난 10일 충북역사교사모임 소속 교사들은 청주 성안길 등에서 국정 역사교과서 철회를 주장하는 1인 시위를 벌였으며, 일부 학생·학부모 등도 국정교과서 불매·거부를 위한 성명을 내는 등 국정교과서 반대 움직임이 꾸준히 일어나고 있다.
송 장학사는 “김병우 교육감 등 충북교육청은 국정 역사교과서를 줄곧 반대해 왔으며, 전국 시·도교육청과 공동 대응하고 있다. 교사·학부모·학생 등의 거부 움직임을 주의 깊게 보고 있으며 대안을 마련하는 것도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오윤주 기자 sti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