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교안은 박근혜다’고 적힌 대형 그림이 등장하자 시민들이 박수를 치고 있다.
“황교안은 박근혜다!”
17일 오후 5시께 부산 부산진구 쥬디스태화쇼핑몰 근처 소방도로. 황교안 국무총리의 즉각 퇴진을 의미하는 구호가 적힌 대형그림이 등장하자 시민들은 박수를 쳤다. 일부 시민은 구호를 외치기도 했다.
오후 6시 7차 부산시국대회가 열리기 2시간 전부터 중앙대로와 소방도로 등에선 다양한 사회적 문제를 풍자한 몸짓이 열렸다. 삼성반도체 피해자들을 돕기 위해 만든 반올림에서 박근혜 대통령의 비선실세인 최순실씨한테 몇백억원의 뇌물을 갖다 바치면서 삼성전자에서 일하다가 백혈병 등으로 죽어간 이들을 나 몰라라 하는 삼성그룹을 비판했다. 5~6명이 차가운 도로에 마스크를 착용하고 흰색 작업복을 입고 일하다 쓰러진 모습을 연출했다.
백혈병 등으로 숨지거나 고통을 겪고 있는 삼성반도체 노동자들을 외면하는 삼성그룹을 비판하는 몸짓이 열리고 있다.
시민단체가 개성공단 복원 등을 촉구하는 몸짓을 벌이고 있다.
6·15부산본부는 개성공단 복원과 한일위안부 합의 무효, 사드 배치 반대 등을 적은 펼침막 앞에 철조망을 세워두고 시민들이 남북관계 회복, 한일군사협정 철회 등이 적힌 띠를 붙이도록 했다.
7차 부산시국대회가 열리기 2시간 전부터 박근혜 정권 퇴진 부산시민운동본부는 왕복 7차로 가운데 3차로에서 만민공동회를 진행했다. 발언자들은 국정교과서 폐기와 사드 배치 철회 등을 요구하며 목소리를 높였다.
시민들은 국회에서 탄핵을 당해 헌법재판소의 결정을 기다리고 있는 박 대통령을 비판했다. 김상금(67)씨는 “박 대통령이 범죄사실이 분명한 주범이고 세계에 대한민국 국격을 망신시킨 장본인이다. 세월호 7시간을 방치하며 국민 안전을 소홀히 했다. 이런 이유만으로도 즉각 퇴진해야 한다. 헌법재판소의 결정을 기다릴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 주권을 되찾기 위해 박 대통령이 퇴진할 때까지 앞으로도 촛불집회에 나올 것이다”고 덧붙였다.
김상금(67)씨가 박근혜 대통령 등을 구속하는 팻말을 들고 있다. 김씨는 매주 토요일 팻말을 다시 작성해 촛불집회에 참여하고 있다.
시민들은 박근혜를 사랑하는 모임 등이 박 대통령의 탄핵을 반대하는 집회를 열고 나선 것을 분노했다. 여섯 살짜리 아들과 아내와 함께 나온 김아무개(39)씨는 “그동안 3차례 촛불집회에 나왔다. 박사모 등 극우 보수세력은 지금의 문제를 이념 대립으로만 몰고 간다. 여자가 머리를 할 수 있다는 희귀한 논리를 펴는데 문제는 세월호에서 304명이 죽어갈 동안 중요한 조처를 하지 않았다는 것이다”고 지적했다. 부산/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