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교육청이 다문화·탈북학생들의 일반학교 편·입학 등을 돕는 전문기관을 만든다. 민간단체가 해온 업무를 교육청이 직접 나서 체계적으로 맡기로 한 것이다.
김석준 부산시교육감은 4일 교육청 기자실에서 신년 기자회견을 열어 “해마다 증가하는 부산의 다문화·탈북학생의 체계적·종합적 지원을 위해 오는 5월 다문화교육지원센터를 만들어 운영하겠다”고 밝혔다. 다문화교육지원센터는 2012년 2월 졸업식 뒤 문을 닫았다가 지난해 10월 놀이와 체험 위주의 청소년복합문화센터로 변신한 부산 부산진구 옛 중앙중학교 건물 4층의 8개 교실에 들어선다.
이곳에선 부모의 국제결혼으로 한국에서 태어났으나 언어 장벽 등으로 일반학교 진입이 힘든 다문화가정 자녀와 북한을 탈출해 부산에 정착한 학생들의 일반학교 편·입학 상담을 한다. 또 다문화·탈북학생들이 일반학교에 입학하기 전에 한글과 한국문화를 가르치고 심리·정서적 안정을 돕는 예비학교도 연다. 민간기관이 운영하는 교육프로그램 등을 마친 다문화·탈북학생들이 일반학교로 진학 또는 전학해도 되는지 평가도 한다.
다문화·탈북학생의 부모들도 교육한다. 한국의 밥상머리 교육 등 한국 부모가 자녀를 가르치는 훈육방법과 자녀가 부모에게 하는 인사법, 등·하교 때 자녀를 맞이하는 방법, 일반학교 프로그램 등을 가르친다.
다문화·탈북학생을 이해하는 프로그램도 운영한다. 베트남·중국 등 다양한 국가의 문화를 체험하는 교실을 운영하고 일반 학생과 교사들이 방문하면 한국어를 자유롭게 구사할 수 있는 원어민들이 각국의 문화를 설명한다. 다문화·탈북학생들을 지도하는 교사들도 다문화·탈북학생을 이해하는 교육을 받는다.
부산시교육청이 다문화교육지원센터를 운영하기로 한 것은 기하급수적으로 늘고 있는 다문화·탈북학생들이 공교육에 뿌리를 내리지 못하면 학업중단 등 사회적 부작용이 크기 때문이다. 초기에 다문화·탈북학생들의 정착을 돕지 않으면 사회간접비용이 감당하기 어려운 수준으로 치달을 수 있다는 것이다.
부산의 초·중·고교 다문화·탈북학생은 2015년 3471명에서 지난해 4331명으로 증가했다. 부산시교육청은 올해는 유치원생 900여명 가운데 일부가 초등학교에 입학할 것으로 보여 5000명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한다. 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