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4·3사건 당시 주민 400여명이 희생된 4·3의 대표적 희생 마을인 제주시 조천읍 북촌리 4·3 합동 위령제가 16일 이 마을 너븐숭이 4·3기념관에서 거행됐다.
제주4·3 당시 학살된 북촌리 주민 443명의 명복을 기리는 북촌리 4·3위령제가 16일 오전 제주시 조천읍 북촌리 너븐숭이 4·3기념관에서 유족 등 3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거행됐다. 이날 위령제는 제주4·3사건을 축소 기술해 비판을 받는 국정 역사 교과서에 대한 성토의 장이 됐다.
이승찬 제주4·3희생자 북촌리 유족회장은 고유문에서 “정권이 바뀔 때마다 4·3에 대한 평가를 달리하고, 4·3을 부정적인 시각으로 바라보는 일부 사람들이 있어 유족들의 마음은 편안한 날이 없다”며 “4·3에 대한 올바른 역사적 평가는 민주주의, 평화와 인권이 바로 선 제주의 기반이다”고 말했다. 이승호 북촌리장 직무대행도 주제사에서 “4·3사건 당시 최대 희생지인 북촌리의 후손으로서 지금의 국정 역사 교과서와 관련된 사태를 보며 끓어오르는 분노를 누를 수 없다. 불행을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 4·3의 역사는 왜곡되거나 축소 해석돼선 안된다”며 정부의 국정 역사 교과서 강행 태도를 비판했다.
양윤경 제주4·3유족회장은 “현재의 국가 상황은 불통과 무개념의 집합체인 것 같아 갑갑하다. 왜곡과 편향의 역사관을 청소년들에게 강제 주입하려는 역사 교과서 국정화와 국민의례 강압적 통제 시도 같은 정부의 작태에 우리 유족들은 당당하게 대응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북촌리는 제주4·3사건이 진행 중이던 1949년 1월17일 무장대의 기습에 군인 2명이 숨지자 이에 대한 보복으로 같은 날 2연대가 주민 300여명을 북촌초등학교 운동장에 집합시켜 무차별 총살하고 마을 전체를 불바다로 만든 4·3의 대표적 학살 피해 마을이다. 소설가 현기영이 4·3을 다룬 소설 <순이삼촌>의 무대이기도 하다. 글·사진 허호준 기자
hojoo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