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환경운동연합과 울산시민연대, 핫핑크돌핀스, 동물자유연대 등 9개 단체는 25일 울산 남구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생태학살 정책’인 돌고래 수입과 비공개·밀실행정 철회를 촉구했다. 울산환경운동연합 제공
울산 남구와 남구도시관리공단이 지난해 초 장생포 고래생태체험관에 일본으로부터 큰돌고래 2마리의 수입을 추진하다 잠정 보류한 뒤 최근 수입계획을 다시 밝혀 시민단체들의 반발을 샀다.
남구와 도시관리공단은 25일 일본 와카야마현 다이지 고래박물관에서 사육 중인 4∼5살 된 암컷 큰돌고래 2마리를 다음달 중 반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큰돌고래 2마리를 사들이고 수송하는 데 드는 비용은 약 2억원이다.
도시관리공단은 “지난해 10월부터 임시휴관에 들어간 고래생태체험관의 돌고래 수조 리모델링을 마치고 다음달 7일 새단장한 모습으로 관람객을 맞는다. 돌고래 중심 사육환경 개선과 여론 수렴을 토대로 고래 도시의 이미지 확립을 위해 최소한(5마리 정도)의 돌고래 사육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현재 고래생태체험관 수족관에는 암컷 2마리와 수컷 1마리 등 큰돌고래 3마리가 있다. 2009년 개장 이후 지금까지 일본 다이지에서 모두 6마리의 큰돌고래를 들여오고 새끼도 2마리 낳았으나 새끼를 포함해 5마리가 잇따라 죽어 나갔다. 도시관리공단은 지난해 1월 다이지에서 큰돌고래 2마리의 추가 수입을 추진하다 2015년 큰돌고래 2마리의 잇따른 폐사 사실을 숨겨온 것이 드러나 반발여론이 일자 보류했다.
이후 공단은 고래생태체험관의 ‘돌고래 중심 사육환경 개선계획’을 세워, 돌고래 쇼 중심의 ‘고래생태설명회’를 하루 4회에서 3회로 줄이고, ‘나이트투어’와 ‘돌고래와 사진찍기’ 등 체험 행사를 없앴다. 또 수족관 돌고래들의 안전사고에 대비해 적외선 폐회로티브이(CCTV)를 추가 설치하고, 돌고래 전문 사육사들의 역량 강화를 위한 국외 선진 수족관 연수교육도 했다.
이에 울산환경운동연합과 울산시민연대, 핫핑크돌핀스, 동물자유연대 등 9개 단체는 이날 남구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생태학살 정책’인 돌고래 수입과 비공개·밀실행정 철회를 촉구했다. 이들 단체는 “‘죽으면 또 구입하는’식의 정책은 반생태적이고 반생명적인 악순환을 무한 반복하며 ‘국제적 생태학살자’라는 오명만 얻을 뿐이다. 63%라는 높은 폐사율에 대해 어떤 변명과 개선을 해도 ‘눈 가리고 아웅’ 하는 식이다. 본질적으로 수족관 고래는 고래 본연의 모습이 아니”라고 지적했다.
이들 단체는 또 “남구가 지난해 9월부터 다이지 마을과 돌고래 수입협의를 해왔으면서도 공식 발표 때까지 시민들에게 아무 설명이나 의견을 구하지 않았다. 예산을 2억원 이상 쓰면서도 예산서에 ‘돌고래 구입’을 밝히지 않고 도시관리공단 전출금 중 고래생태체험관 운영비에 은근슬쩍 묻어가는 비공개 밀실행정의 전형을 보여줬다. 더 이상 생명을 이윤의 도구로 이용하는 반생태적인 정책을 즉각 중단하고, 민관협력의 길을 통해 전면적이고 생태적인 고래특구정책으로 전환할 것”을 촉구했다. 신동명 기자
tms13@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