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관·군 30개 기관 ‘감염병협력위원회’ 발족
전문 의료인력 상시 확보…유사시 상호 협력 지원
전문 의료인력 상시 확보…유사시 상호 협력 지원
서울시가 전국에서 처음으로 민·관·군 감염병 공동 대응체계를 구축한다.
서울시는 2일 서울시의사회, 수도방위사령부, 강북삼성병원 등 민·관·군 30개 기관이 참여하는 ‘서울시 감염병 협력위원회’를 출범하고, 감염병 공동 대처에 나선다고 밝혔다.
위원회에 참여하는 30개 기관은 의사회·병원협회·약사회·간호사회·대한감염학회 등 보건의료단체, 강북삼성병원·경희대병원·삼성서울병원·서울대병원 등 시내 민간 대형병원 14곳, 서울의료원 등 시립병원 8곳, 수도방위사령부·서울소방재난본부·보건소다.
참여 기관들은 감염병 등 재난 상황에 대비해 전문 의료인력을 확보하고, 유사시에는 서로 협력 지원해 신속하게 공동 대처한다. 서울시는 협력 체계를 유지하는데 필요한 각종 행·재정적 지원을 맡는다. 서울시의사회는 감염병 대응 의료인력을 교육하고 매뉴얼을 보급한다.
2015년 메르스 발생 때 특정 기관에 환자가 몰리면서 의료진의 피로도가 높아졌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각 기관마다 전문의료인력을 늘 확보하기로 했다. 민·관·군 감염병 공동 대응체계를 마련한 것은 전국에서 처음이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제2의 메르스 사태가 다시는 발생하지 않도록 민·관·군의 단단한 협력을 기반으로 감염병 대응 역량을 한 단계 혁신하겠다”고 말했다.
원낙연 기자 yanni@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