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명고·김천고·울릉중·고 등
역사교과서 연구학교 신청 검토
일부 교사 반발 만만치 않아 고민
전교조 “사용땐 더 혼란스러워질 것”
역사교과서 연구학교 신청 검토
일부 교사 반발 만만치 않아 고민
전교조 “사용땐 더 혼란스러워질 것”
대구·경북지역 일부 학교가 사실 왜곡과 이념 편향 논란을 빚고 있는 박근혜 정부의 국정 역사교과서 사용을 추진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8일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 등의 말을 종합하면, 경북에서는 사립인 경산시 문명고와 김천시 김천고가 국정 역사교과서를 주교재로 쓰는 ‘연구학교’ 신청을 검토 중이다. 이들 학교는 지난 6일 각각 전체교사회의와 부장교사회의를 열어 연구학교 신청 뜻을 밝혔다. 하지만, 일부 교사들의 반발이 만만치 않아 고심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공립 울릉증과 울릉고도 연구학교 신청을 검토 중이다.
또 대구에서는 계성고(사립)가 국정 역사교과서를 사들여 보조교재로 사용할 계획을 세워두고 있다. 이는 연구학교 신청은 하지 않고, 검정 역사교과서와 국정 역사교과서를 함께 쓰겠다는 것이다.
교육부는 국정 역사교과서 현장검토본의 760곳을 수정해 지난달 31일 최종본을 확정해 발표했다. 이어 국정 역사교과서를 주교재로 쓰는 연구학교 교원에게는 인사상 가산점을 주고 학교에는 1000만원의 특별교부금을 주겠다는 ‘당근’을 제시했다. 그러나 대구시교육청과 경북도교육청은 연구학교 신청을 각 학교의 결정에 맡기겠다며 논란에서 한발 뒤로 물러난 상태다.
이용기 전교조 경북지부 대변인은 “사실상 탄핵당한 박근혜 정부의 국정 역사교과서를 왜 사용하려고 하는지 이해할 수 없다. 이를 사용하면 교육현장은 논란에 휩싸이며 더 혼란스러워질 게 뻔하다. 시·도교육청이 국정 역사교과서 사용을 거부해야 한다”고 말했다. 대구시교육청과 경북도교육청은 지난달 12일부터 연구학교 신청을 받고 있지만, 아직 신청한 학교는 없는 상태다. 교육부는 8일 전국 시·도 교육감에게 공문을 보내 연구학교 공모 마감을 10일에서 15일로 연장해달라고 요구했다. 김일우 기자 cool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