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교육청, 아동학대 근절위해 200만원씩 지원
상황대책반 만들어 정기적 관리와 점검하고 특별감사 시행
상황대책반 만들어 정기적 관리와 점검하고 특별감사 시행
부산시교육청이 아동 학대를 예방하기 위해 부산의 모든 유치원 교실에 폐회로텔레비전(CCTV) 설치를 추진하고 나섰다.
부산시교육청은 23일 유치원에서 종종 발생하고 있는 아동학대 사건 재발 방지를 위한 종합대책을 발표하고 시행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먼저 아동학대가 없는 안전한 교육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모든 유치원 교실에 시시티브이를 설치하기로 했다. 설치를 유도하기 위해 시시티브이를 설치하는 유치원에 200만원씩을 지원한다. 또 해마다 학부모 4만5400명과 교사 3500명을 대상으로 아동학대 실태조사를 벌이고 필요에 따라 현장 확인과 교육을 한다.
아동학대가 발생하면 신속하게 아동을 보호하고 관리하기 위해 부산시교육청과 산하 5개 교육지원청에 아동학대 상황대책반을 설치해 운영하기로 했다. 아동학대가 발생한 유치원은 사안에 따라 1단계 시정 명령, 2단계 기관 경고, 3단계 학급(정원) 감축과 차등적 재정지원, 4단계 폐쇄조처 등의 절차를 밟게 된다. 필요하면 유치원 운영 전반에 대한 감사를 벌인다.
부산시교육청은 아동보호전문기관 등 유관기관과 연계해 피해를 본 어린이와 전문가의 직접 상담을 지원하고 학교 위센터(학원폭력 등 상담센터)에 ‘피해유아 지원단’을 만들어 상담과 자문을 즉시 받을 수 있도록 했다.
부산시교육청은 유치원 교사의 아동인권보호 의식과 생활지도 능력을 끌어올리기 위해 유아교육과를 두고 있는 부산의 15개 대학과 협의해 예비 유치원 교사들이 졸업 직전 아동학대예방교육을 3시간 받도록 하고 유치원들이 교사를 채용할 때 확인서를 받도록 했다. 또 유치원 교사의 경력·직급별 맞춤형 인성 역량과 감정코칭 등 연수를 지원하고 연간 60시간 이상 이수하도록 권장하기로 했다.
한편, 부산시교육청은 관행적인 부교재 뒷돈(리베이트) 근절을 위해 교육과정 시간에 특성화 교육을 전면 금지하고 원아 모집 등을 위한 반복적·장기적 보여주기식 행사를 지양하는 등 놀이와 쉼이 있는 교육과정 운영을 지도한다. 또 유치원 교사의 업무를 줄이고 사기를 높이기 위해 현장평가 방법을 개선하고 교육정책사업을 정비하며 고충 상담 등의 지원을 추진한다.
김숙정 부산시교육청 유·초등교육과장은 “유치원 교사의 아동학대는 유아에게 돌이킬 수 없는 상처를 남기게 된다. 이런 일이 재발하지 않도록 교원의 아동인권보호 인식을 지속해서 개선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부산/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