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5월 벌어진 서울 강남역 인근 화장실 살인사건의 피해자를 추모하는 쪽지들. 서울시 제공
서울시가 데이트폭력과 디지털성범죄 추방에 적극 나선다. 이를 위해 올해 데이트폭력, 디지털성범죄 피해구제 전문기관을 시범 운영한다. 피해자에게는 상담부터 법률·의료 지원까지 연계한다.
세계 여성의 날(3.8)을 맞아 서울시는 이런 내용을 뼈대로 한 ‘여성안심특별시 3.0 대책’을 7일 발표했다. 2013년부터 여성안심택배, 안심귀가스카우트 등 기반 중심의 여성안심대책을 마련해왔다면, 앞으로는 혐오문화와 데이트폭력·디지털성범죄 추방 등 생활 속 여성안전 강화에 집중한다는 의미다. 지난해 5월 벌어진 강남역 인근 화장실 살인사건으로 한국 사회의 ‘혐오문화’가 큰 화두로 떠오른 상황을 반영했다.
서울시는 올해 민간전문단체를 선정해 데이트폭력과 디지털성범죄 피해구제 전문기관을 시범 운영한다. 시범사업의 효과 분석 등을 통해 내년에 전문지원기관 설치도 검토한다. 또 데이트폭력의 발생현황·연령·빈도·피해유형·관계 등에 대한 자세한 실태조사를 벌여 중장기 예방·지원대책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데이트폭력과 디지털성범죄 대응 매뉴얼을 피해자용과 경찰 등 지원자용으로 각각 제작해 배포하고 상담할 때도 활용한다.
서울시는 생활 속에서 성 평등 가치를 확산해 사회통합을 추구하는 대책도 마련했다. 성평등 의식이 자연스럽게 자리 잡도록 어린이집 어린이와 초·중학생 3만여명을 대상으로 맞춤형 감수성 향상 교육을 실시한다. 이를 위해 유네스코 등 국제 기준에 맞는 ‘서울형 성평등 교육교재’를 개발하고, 성평등 교육담당 현장활동가를 지금 40여명에서 90명으로 늘린다. 어른들의 성차별 의식이 답습되지 않도록 교사와 학부모 7천여명도 교육한다.
일터에서의 성평등 문화 확산을 위해 서울시가 앞장서기로 했다. 서울시 행정 전반에 성 평등 의식이 반영되도록 모든 국·실·본부마다 ‘젠더 담당자’를 지정하고, 시 산하 모든 위원회의 여성 위원 비율을 연내 40% 이상으로 끌어올리기로 했다. 엄규숙 서울시 여성가족정책실장은 “성평등한 도시는 여성이 안전한 도시고, 여성이 안전한 도시는 모두가 안전한 도시다. 올해는 성평등 공감문화를 확산하고 모두가 안전한 도시로 만드는 정책에 힘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원낙연 기자
yann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