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목포시가 10년 동안 방치된 옥암지구 의과대 예정 터를 자연녹지에서 주거지역으로 용도 변경해 매각하기로 했다. 의과대학이 들어설 것으로 기대한 주변 아파트 입주민들은 실망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목포시는 8일 “남악 새 도시에 인접한 옥암지구 대학부지를 자연녹지에서 주거지역으로 변경하기 위해 전남도에 도시기본계획 변경을 신청했다”고 밝혔다. 시는 옥암지구 대학 터 19만6793㎡ 가운데 13만㎡의 용도를 자연녹지지역에서 준주거지역으로 바꾸기로 했다. 나머지 6만6000㎡는 애초 취지를 살려 교육연구·교육의료 시설 용지로 남겨 둔다.
이곳은 지난 2008년 애초 목포대의 의과대 유치를 지원하기 위해 조성했다. 하지만 의과대 유치가 사실상 어려워지면서 수차례 용도변경이 추진됐다. 그때마다 주민들이 “조망권이 침해되고 난개발이 우려된다”며 반대해 번번이 무산됐다.
시는 지난해 “주변이 개발되면서 빈 땅으로 놀려두는 데 한계가 있다. 설문 조사에서 응답자 87%가 개발의 필요성에 찬성하는 만큼 합리적 토지이용이 필요한 시기가 됐다”며 개발계획을 다시 세우고 있다. 이를 위해 개발계획 변경 용역, 주민공청회와 목포시의회 의견청취, 도시계획위원회 자문 등 절차를 마쳤다. 시는 4월까지 도시기본계획의 승인을 받고, 6월까지 개발계획과 실시계획을 변경하기로 했다. 연말까지 기반시설 실시설계를 마치고 내년 초 기반시설을 조성하는 공사를 시작한다. 토지 분양은 2019년에 이뤄지고, 1000억원 이상의 분양수익이 발생할 것으로 기대된다. 투자비 625억원과 조성비 138억원을 빼면 300억원 가량 개발이익이 발생한다. 김형석 시 재개발과장은 “용도변경이 이뤄지면 옥암지구에 부족했던 학교·학원·병원·약국 등 생활편익시설이 입주한다. 층고 제한은 현재 10층 에서 5층으로 강화되기 때문에 아파트 건설은 어렵다”고 설명했다.
반면 옥암지구 용도변경 반대추진위원회는 “시가 재정을 충당하려고 운치있는 영산강 주변의 토지를 망치고 있다”고 반발했다. 주민들은 시가 일방적으로 개발계획과 용도변경을 밀어붙이고 있다며 철회를 주장했다. 또 조망권과 난개발을 문제 삼아 행정소송도 불사하겠다는 태도를 보였다.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