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가 탈원전을 위해 민간주택에 태양광 발전설비를 무료로 달아주고 있다.
부산시는 17일 “태양광을 기피하는 문화를 바꾸기 위해 20일부터 다음달 7일까지 신청을 받아 단독주택 60가구와 공동주택(아파트) 300가구 등 360가구를 선정해 가구당 80만~700만원씩 6억원 상당의 태양광 발전설비를 무료로 설치해 준다”고 밝혔다.
단독주택은 마을공동체 대표가 10가구 이상의 주민 동의를 얻어 신청하면 된다. 공동주택은 입주자대표 또는 관리사무소가 동 또는 단지별로 지원하면 되는데 300가구를 넘지 못한다.
부산시는 현장 확인과 서류심사, 선정위원회 심의 등을 거쳐 지원대상을 선정할 예정인데 태양광 전기 홍보를 위해 특정 아파트에 무더기 혜택을 주지 않고 지역을 고려해 골고루 배정할 방침이다.
태양광 발전설비 지원대상 가구에 선정되면 단독주택은 지붕 위에 2~3㎾용량, 공동주택은 베란다 밖의 창문을 가리지 않는 곳에 250w용량의 태양광 발전설비(가로 1m 50㎝, 세로 1m) 1개씩이 달린다.
단독주택의 태양광 설치비용은 가구당 600만~700만원, 공동주택은 가구당 80만원씩 하는데 부산시가 시비 6억원을 들여 모두 지원한다. 부산시 누리집의 고시공고에서 신청서 양식을 내려받아 작성하고 부산시 에너지산업과를 직접 방문해 신청서를 제출하거나 우편으로 보내면 된다.
부산시는 태양광 발전설비를 달게 되면 단독주택은 다달이 4만원, 공동주택은 1만~1만5000원의 전기를 절감하는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부산시는 태양광 발전설비 무상 설치 반응이 좋으면 내년에도 추진할 계획이다.
부산 기장군 장안읍과 울산 울주군 서생면엔 현재 고리원전 1~4호기와 신고리원전 1~3호기가 상업 가동 중이고 신고리원전 4호기가 올해 12월 상업가동에 들어간다. 30년 수명인데 10년 더 연장한 고리원전 1호기가 가동 40년 만인 올해 6월 영구 폐쇄에 들어가지만 원전 2기가 추가로 추진되고 있다. 부산과 울산이 세계 최대 원전 밀집지역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부산시는 원전도시 이미지를 벗어나고 청정에너지인 태양광 전기 보급을 확대하기 위해 한국에너지공단과 공동으로 국·시비를 들여 태양광 지원사업을 벌이고 있다.
부산시 에너지산업과 관계자는 “부산시가 이번에 태양광 발전설비 비용 전액을 처음 지원하는 것은 원전에서 벗어나 클린에너지 도시로 탈바꿈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내는 것이다”고 말했다. 부산/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