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시종 충북지사가 10일 충북도청에서 충북경제자유구역 충주 에코폴리스 사업 중단을 발표하고 있다.
충북경제자유구역의 한 축인 충주 에코폴리스 사업이 4년 만에 좌초했다. 사업 추진을 주장해온 충북도의회 충주지역 의원들은 크게 반발했다.
이시종 충북지사는 10일 충북도청 브리핑실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충주 에코폴리스 사업을 중단하기로 결정했다. 특수목적법인 출자사들과 자금조달, 선분양, 분양가, 대출상환 순위 등을 수십 차례 협의했지만, 합의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이 지사는 “2015년 이후 기업체 등을 방문해 투자 유치설명을 했지만, 현재까지 분양 입주를 희망하는 기업체가 나서지 않았다. 현 시점에서 개발사업시행자를 찾는 것도, 입주 기업체를 찾기도 어렵다”고 말했다. 그는 “도민에게 엄청난 재정적 부담을 안겨줄 것이다. 매우 늦었지만 중단하는 게 최선의 길”이라고 덧붙였다.
사업 예정지인 충주 쪽은 사업 중단 결정에 크게 반발하고 있다. 조길형 충주시장은 “매우 아쉽다. 사업성·효율성 등에 대해 논란이 여전하고, 타당성 논의도 이뤄지지 않은 상태에서 사업 중단에 동의할 수 없다. 하지만 결정이 내려진 만큼 후유증을 최소화하고, 미래 지향적인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충북도의회 김학철(충주1)·이언구(충주2)·임순묵(충주3) 의원 등은 공동 기자회견을 열어 이 지사의 결정을 비판했다. 이들은 “어리석은 결정으로, 모든 후폭풍은 이 지사가 감당해야 한다. 보상도 안 된 용지에 입주기업이 없는 것은 당연한데, 지사가 엉뚱한 핑계로 호도했다. 다분히 정략적이고 정치적 결정”이라고 비판했다. 또 “충북도가 평당 분양가 55만원을 고집하다 일이 틀어졌다. 4년 전 분양한 주변 메가폴리스 분양가가 평당 64만원이었다. 의지·자신이 없다면 에코폴리스뿐 아니라 청주지역 다른 경제자유구역도 모두 포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최윤정 충북·청주경실련 사무처장은 “충북경제자유구역은 외국인 자본·기업 유치라는 본 취지를 살리지 못하고 추진된 게 문제다. 충북의 경제자유구역 사업을 모두 재검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충주 에코폴리스(2.33㎢)는 청주 바이오 메디컬·바이오 폴리스, 에어로1·2 폴리스와 더불어 충북경제자유구역 5개 지구 가운데 하나로 2013년 2월14일 지정됐으며 2020년까지 충주시 중앙탑면 일원에 3864억원을 들여 자동차 전장부품 단지 등을 조성하는 게 뼈대다. 2015년 4월 현대산업개발, 충북도·충주시, 대흥종합건설, 교보증권, KTB투자증권 등이 참여해 특수목적법인을 세우고 사업을 추진해왔다.
글·사진 오윤주 기자
sti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