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한강로와 충정로역 앞에 건립 추진중인 역세권 청년주택 조감도. 서울정책아카이브 누리집 갈무리
서울 시내 대학재학생 중 다른 지역에서 온 학생들은 33% 비중을 차지하지만 서울 소재 대학 총 기숙사 수용률은 10.9%밖에 되지 않아 그중 3분의 1만을 수용할 수 있는 기숙사에 들어갈 수 있다. 서울시는 부족한 기숙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역세권 2030 청년 주택 제도를 활용해 대학생 공공기숙사를 건립할 계획이다.
역세권 청년주택은 시가 민간사업자에 용적률, 규제완화 등 혜택을 주고 준공공임대주택으로 짓게 한 뒤 이 가운데 10%~25%를 서울시가 공공임대주택으로 확보해 청년들에게 주변 시세 대비 60~80%로 공급하는 사업이다. 16일 서울시는 다른 지방자치단체들과 손잡고 이런 방식으로 대학생 기숙사를 짓기로 하고, 5월 안에 지자체를 대상으로 한 수요조사를 완료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사업에 참여하는 지자체는 자역세권 청년주택 일부를 기 지역 출신 학생들을 위한 공공기숙사로 제공받는 대신, 기숙사 운영비 등 일부를 부담하게 된다. 시는 공공기숙사 예정지로는 대학가가 몰려있는 마포구, 서대문구, 관악구 등 지역을 우선 검토할 예정이다.
공공기숙사엔 주거공간 외에 공동세탁실, 공동주방 같은 공유공간과 가족 또는 친구가 방문했을 때를 위한 게스트하우스 등이 설치된다. 또, 스터디카페, 체력단련실, 창업지원공간 등 다양한 청년 커뮤니티 시설을 설치해 청년들이 공동의 활동기반을 마련할 수 있는 ‘청춘 플랫폼’으로 만들 계획이다.
서울시가 다른 지차와 함께 공공기숙사를 건립하는 사례는 이번이 두 번째다. 지난 2014년 태안시, 순천시, 나주시 등 총 14개 지자체와 함께 만든 내발산동 공공기숙사엔 현재 총 382명의 해당 지역 출신 대학생들이 살고 있다. 시는 이번 역세권 공공기숙사에 대한 운영비 분담 규모, 향후 운영방안 등 구체적인 사항은 참여 지자체가 확정되면 추후 ‘공공기숙사 실무협의회’를 구성해 논의한다는 계획이다.
남은주 기자
mifoco@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