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선택 대전시장, 이춘희 세종시장, 이시종 충북지사, 최문순 강원지사, 안희정 충남지사는 10일 문재인 대통령 취임이 지방 분권과 지역 현안을 풀어내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대전·세종시, 충북·충남·강원도 제공
충청·강원지역 단체장들은 문재인 대통령 취임을 축하하고,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협력해 지방 분권을 이루고 지역 현안을 해결하는 계기이길 바랐다.
충청·강원지역 단체장들은 10일 일제히 성명을 내어 “문재인 대통령 취임은 촛불 혁명의 완성이자 민주주의의 승리이다. 시민과 함께 19대 문재인 대통령의 취임을 축하한다. 국정농단에서 비롯된 촛불 혁명을 완성하고 나라의 주권이 국민에게 있다는 사실을 다시 한 번 확인했다”고 밝혔다. 단체장들은 “문 대통령은 추운 겨울에 촛불을 들고 거리에 섰던 시민들의 간절한 바람을 잊지 말고 적폐를 청산해 정의를 세우고 민주와 법치를 회복시켜야 한다”고 한목소리를 냈다. 이어 “중국과 북한 등 대외 관계 개선, 심각한 경제난 해결이 시급하다”고 강조하고, “경쟁과 갈등을 봉합하고 소통과 화합, 희망의 나라를 열어 달라”고 부탁했다.
이들은 문 대통령이 중앙에 집중된 권력을 나눠 지방자치, 지방 분권을 강화하고 공약한 지역 현안이 해결되기를 기대했다.
권선택 대전시장은 “대전을 4차산업 혁명 특별시로 육성하겠다는 공약은 국가적으로도 중요한 의제다. 또 대전이 대중교통수단으로 추진하는 트램은 친환경 교통수단으로서 우리나라의 교통문화 개선에 큰 이정표가 될 것이다. 전폭적으로 지지해달라”고 밝혔다. 이춘희 세종시장은 “문 대통령은 국민에게 물어 행정수도 개헌을 추진하고 세종시를 행정수도로 완성하겠다고 약속했다. 새 정부는 보다 많은 권한과 재정을 지방에 이양해 온전한 지방자치 시대를 열기를 바란다”고 했다.
이시종 충북지사도 “바이오 밸리 완성, 태양광산업 육성 등 대선 공약에 포함된 충북의 미래 비전들이 실행에 옮겨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최문순 강원지사는 “강원에선 야당(더불어민주당) 후보가 승리한 첫 대선이었다. 문 대통령이 32만4768표(34.16%)를 얻어 홍준표 후보(28만4909표·29.97%)를 3만9859표 차이로 이겼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최 지사는 “문 대통령이 취임해 평창 겨울올림픽 성공 개최와 남북관계 개선, 지역 분권에 대해 큰 진전을 이룰 것”이라고 기대했다. 안희정 충남지사는 지난 9일 밤 서울 광화문에서 열린 문 후보 당선 축하행사에서 “어떤 경우라도 개인의 사사로운 이익을 갖고 국민을 배신하는 정치는 하지 않겠다. 문재인 정부를 사랑해달라”고 호소했다.
설동호 대전교육감, 김지철 충남교육감, 최교진 세종교육감, 민병희 강원교육감은 문재인 정부 출범이 교육의 국가책임과 공교육이 강화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환영했다. 사진 대전·충남·세종·강원교육청 제공
지역 교육감들도 문 대통령이 취임해 교육의 국가책임이 강화되고 공교육이 제자리를 찾는 교육 개혁에 탄력이 붙을 것이라며 환영했다.
설동호 대전교육감은 “대전은 4차산업 혁명의 중심이어서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이 중요하다. 학생들이 공정한 교육 기회를 갖도록 문 대통령이 법과 원칙이 통하는 교육 개혁을 이끌어주길 바란다”고 밝혔다. 김지철 충남교육감은 “문 대통령의 취임은 교육이 외풍에 흔들리지 않고 오로지 아이들에게 전념할 수 있는 출발점이다. 대한민국을 새롭게 할 교육 개혁의 길을 함께 하는 동반자가 되겠다”며 새 정부 출범을 반겼다. 최교진 세종교육감은 “지방교육 자치를 실현하려면 국가가 지방교육의 자주성을 보장하고 맞춤형 교육정책을 지원해야 한다. 문 대통령의 관심과 지원을 바란다”고 말했다. 민병희 강원교육감은 “그동안 강원교육은 효율성만을 앞세우는 교육정책에 맞서 작은 학교 살리기와 누리과정 예산 국고지원, 역사교과서 국정화 폐지 등 교육과 헌법적 가치를 지키기 위해 험난한 길을 걸어왔다. 문 대통령의 교육 공약은 교육자치와 분권이라는 시대정신이 충실하게 반영된 만큼 새 정부의 공약 이행을 위해 함께 하겠다”고 약속했다.
송인걸 오윤주 박수혁 최예린 기자
sti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