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강 사업은 잘못됐다는 것이 이미 사회적으로 합의된 상태였고, 최근 대통령선거를 통해서 정치적으로도 검증됐다. 4대강 사업에 따른 피해는 명확히 드러나 있는데, 이를 책임질 사람이 없다는 현실이 답답할 뿐이다.”
문재인 대통령의 4대강 보 수문 상시개방 지시에 따라 1일 오후 낙동강 함안창녕보의 열린 수문으로 쏟아지는 강물을 바라보는 최수영(47·사진) 부산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의 감회는 남달랐다.
최 처장은 4대강 사업 초기이던 2010년 7월22일 새벽 5시께 이환문(49) 진주환경운동연합 사무국장과 함께 낙동강 안에 설치된 함안보(현 창녕함안보) 공사장에 고무보트를 타고 들어가서, 40m 높이 타워크레인에 올라가 4대강 사업 중단을 요구하는 고공농성을 벌였다. 두 사람은 8월10일까지 20일간의 농성을 끝내고 내려오자마자 연행돼, 공무집행방해·업무방해 등 혐의로 징역 10월에 집행유예 1년6월의 형을 받았다.
최 처장은 “농성을 끝낸 뒤 오늘까지 딱 세번 함안보에 와봤다. 그동안 함안보를 마주 보기가 너무 힘들었다. 그렇지만 오늘은 기쁜 마음으로 함안보를 찾아왔다”고, 창녕함안보 수문 개방을 지켜보는 소감을 밝혔다.
그는 또 “정부는 앞으로 1년 동안 수문 개방의 효과를 관찰한다는데, 분명히 수질개선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여러 사회적 요인 때문에 오늘 창녕함안보 수문을 고작 20㎝만 여는 것이 아쉬울 뿐이다. 수문을 완전히 열지 않는 것에 대한 불만으로 이환문 국장은 오늘 현장에 오지 않았다. 가동보를 열어서 수생태계가 어느 정도 회복되는 효과가 확인된다면, 보 전체를 철거해 4대강 사업 이전 상태로 되돌려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낙동강은 생명력이 매우 강합니다. 물길만 열어준다면 곧 예전 상태의 모습을 회복할 겁니다.”
최 처장은 “늦었지만, 4대강 사업 이전 상태로 되돌리는 생명회복 정책이 가동된 만큼 낙동강 등 4대강이 다시 예전 수준으로 유속을 회복하고, 수생태계와 수질도 복원하기 바란다”고 말했다. 창녕/글·사진 최상원 기자
csw@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