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는 2020년까지 청년층의 주거 안정을 위한 따복하우스를 1만가구 공급할 예정이다.
올해 경기도 내 무주택 서민들을 위한 공공임대주택 4만1000가구가 공급되고 취약 계층 13만가구에 주거 급여가 지급된다. 경기도는 이런 내용이 담긴 ‘2017년 주거종합계획’을 수립해 국토교통부에 냈다고 5일 밝혔다.
주거종합계획을 보면 무주택 서민가구 지원을 위해 올해 공급될 공공임대주택은 공공임대 3만2000가구와 매입·전세임대 9000가구 등 모두 4만1000가구다. 구체적으로 공공임대의 경우 행복주택 4000가구, 영구임대 1000가구, 국민임대 1만1000가구, 10년임대 1만3000가구, 민간건설공공임대 3000가구다. 생계·의료급여 수급자와 보호대상, 한부모 가족과 장애인 등에게는 9430가구의 매입·전세임대주택이 공급된다. 경기도가 2240가구,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7190가구를 각각 공급한다.
매입·전세임대에는 산업단지 청년 노동자와 대학생을 위한 셰어하우스 70가구도 포함돼 올해 시범 공급된다. 셰어하우스는 경기도의 주거복지사업으로 전세가가 시중 값의 30∼50% 수준이다.
취약 계층의 주거복지도 지원된다. 저소득 취약 계층의 주거복지를 위해 중위소득 43% 이하(4인 가구 기준 192만원)인 13만가구(임차 12만9000가구, 자가 1000가구)에는 평균 13만1000원의 임차료와 주택 노후도에 따라 최대 950만원의 주택개량비가 지원된다. 노후주택을 에너지효율 주택으로 고치는 햇살하우징사업(340가구), 장애인·홀몸노인의 주거환경을 개선하는 G-하우징 리모델링사업(100가구), 농어촌 장애인주택 개조사업(28가구), 중위소득 50% 이하 중증 장애인주택 개조사업(62가구)도 추진된다.
한편 경기도는 청년층의 주거안정을 통해 저출산 극복에 도움을 줄 따복하우스와 관련해 올해 사업계획 승인을 끝내고 2020년까지 1만가구를 공급하겠다고 밝혔다.
따복하우스는 현재 18개 시·군에 37곳에 들어서는데, 임대보증금과 월세가 시세의 80% 수준으로 싸고 보증금 이자의 40%를 지원하는 주택이다.
홍용덕 기자
ydho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