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6안산시민연대 등 안산시에 서명부 전달
“합동분향소 마련된 화랑유원지에 조성해달라”
반대쪽 주민들 “화랑유원지에 납골시설 안된다”
“합동분향소 마련된 화랑유원지에 조성해달라”
반대쪽 주민들 “화랑유원지에 납골시설 안된다”
경기도 안산지역 63개 시민단체로 구성된 ‘4·16안산시민연대’와 ‘4·16가족협의회’는 ‘4·16 안전공원’을 현재 세월호 참사 희생자 정부합동분향소가 마련된 화랑유원지에 조성할 것을 촉구하는 서명작업에 3만여명이 동참했다고 7일 밝혔다.
이들 단체는 이날 오후 3시30분 안산시청 본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지난 4월16일부터 5월31일까지 벌인 서명운동에 동참한 시민 3만3090명의 서명부를 안산시와 안산시 추모사업협의회에 전달했다.
이들은 세월호 특별법에 따라 정부가 추진 중인 안전공원은 “참사 피해 지역인 안산이 품고 대한민국이 기억하며 세계가 찾는 시민 친화적·문화 복합적 공간으로 건립돼야 한다”며 화랑유원지 내 조성을 촉구했다.
안산시민연대는 “안산시 추모사업협의회가 이달 말 안전공원 부지와 규모 등의 결정을 앞두고 있다. 안전공원은 시민들 요구와 바람대로 조성되어야 한다”고 밝혔다.
시는 지난해 7월 세월호 유가족, 시민사회단체, 주민대표, 건축·조경 전문가, 국무조정실 관계자 등 24명으로 추모사업협의회를 꾸려 희생자 추모시설인 4·16 안전공원 입지를 협의 중이다.
이에 세월호 유가족들은 합동분향소가 설치된 화랑유원지 내에 봉안시설을 갖춰 안전공원을 조성하자는 입장이지만, 주변 재건축조합 등을 비롯해 적지 않은 주민들이 반대로 아직 장소를 정하지 못하고 있다.
앞서, 지난 2일 안산합동분향소 뒤 경기도미술관 강당에서 열릴 예정이었던 ‘416안전공원 전문가 심포지엄’은 반대 쪽 주민들의 격렬한 반발로 파행을 겪었다. 이날 오후 2시 열릴 예정이었던 심포지엄은 행사 시작 10분 전 화랑유원지 내에 안전공원 건립을 반대하는 주민 수십 명이 강당으로 뛰어들어 “추모 공원을 반대한다”고 적힌 펼침막을 벽에 내걸고 “죽은 사람은 뒷산에 가라”고 고함을 지르며 행사를 방해해 진행되지 못했다.
심포지엄을 준비한 ‘안산의제21’은 시민사회, 학계, 지자체 등이 구성한 민관 협력 기구다. 중립적인 위치에서 416안전공원을 둘러싼 지역사회 갈등 양상을 진단하고 방향을 설정하기 위해 행사를 계획했었다.
한편, 반대 주민들은 “안산 합동분향소가 3년 동안 유원지에 있었다. 많은 주민이 피로해 한다. 봉안 시설과 납골당까지 들여오겠다는 것은 절대 안 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안산/김기성 기자 player009@hani.co.kr
안산지역 63개 시민단체로 구성된 4·16안산시민연대와 4·16가족협의회 20여명은 7일 오후 안산시청 본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4·16 안전공원’을 안산 화랑유원지에 조성할 것을 촉구하는 서명운동에 3만3천여명이 동참했다”며 시민들의서명부를 시에 제출했다. <연합뉴스>
세월호 참사로 꾸려진 4·16관련단체 회원들이 정부합동분향소가 마련된 안산 화랑유원지 내에 ‘416안전공원’을 설치해 줄 것을 요구하는 서명운동을 벌이고 있다. 416안산시민연대 제공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