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비 2500억원의 부산 오페라하우스가 추진 3년 만에 정부 중앙심사를 최종 통과해 착공의 길을 열었다. 하지만 롯데그룹의 기부금 1000억원을 뺀 1500억원의 사업비와 연간 100억원대 운영비를 국비로 충당하지 않으면 부산시 재정을 악화시킬 것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부산시는 7일 “오페라하우스 건립 사업이 지난달 말께 정부 지방재정투자사업 심사에서 최종 통과했다”고 밝혔다. 지방재정투자사업 심사는 자치단체의 무분별한 중복 투자를 방지하기 위해 1992년 도입됐는데 사업 필요성과 타당성을 심의한다. 이 심사에서 적격 판정을 받아야 사업 추진이 가능하다.
부산 오페라하우스 건립 사업은 2014년 3월 심사에서 조건부로 통과했다. 이후 사업비를 2629억원에서 2500억원으로 129억원 줄이고, 완공 시점도 2020년에서 2021년으로 1년 연기하는 등의 계획 변경을 통해 3년 만에 최종 심사를 통과했다. 부산시는 교통영향평가와 실시설계를 오는 7~8월 끝내고 건설기술심의위원회와 조달청 설계 심사를 거쳐 올해 12월 착공에 들어갈 계획이다.
오페라하우스 건립 추진은 2008년 롯데그룹이 1000억원을 기부하겠다고 약속하면서 시작됐다. 롯데는 현재까지 700억원을 기부했고 나머지 300억원은 올해까지 내겠다고 부산시에 알렸다고 한다. 부산시는 오페라하우스 위치를 부산역 근처 북항 재개발 사업지 해양문화지구로 잡았다. 2만9542㎡에 연면적 5만1716㎡, 지하 2층, 지상 5층으로 짓겠다는 것이다. 이곳엔 1800석의 대극장과 300석의 소극장, 전시실 등이 들어선다. 터는 해양수산부 소유인데 해양수산부는 오페라하우스 완공일로부터 40년 동안 무상 사용을 부산시에 허가했다.
오페라하우스는 첫 번째 고비를 넘겼지만 국비 확보가 여전히 불투명하다. 부산시는 2500억원의 사업비 가운데 롯데그룹 기부금 1000억원을 뺀 1500억원 전체 또는 일부와 연간 104억원으로 예상되는 운영비를 국비로 충당하려 한다. 하지만 부산시민공원 안의 국제아트센터(지하 2층, 지상 4층) 건립비 900여억원을 국비로 지원받은 터라 정부 설득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부산시의 많은 재정 투입이 예상되면서 반대 여론도 만만찮다. 오페라는 일반시민들이 이용하기 부담스러워 흥행 실패가 우려되고 결국 오페라하우스에 시민들의 세금을 쏟아붓는 결과가 예상되므로 건립을 중단해야 한다는 것이다.
양미숙 부산참여자치시민연대 사무처장은 “세계적으로 오페라하우스가 성공한 사례는 극히 드물다. 서울시도 노들섬오페라하우스를 포기했고 부산문화회관 등도 객석 점유율이 낮다. 오페라 자체가 대중성이 없는데 시민들이 모금에 참여할 것으로 보지 않는다. 또 하나의 세금 먹는 하마로 전락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용규 부산시 오페라하우스 추진단장은 “오페라와 함께 극영화와 연극, 발레 등도 무대에 올려 수익을 늘려나가면 된다. 국비 지원이 여의치 않으면 시민참여형 모금을 통해 해결하겠다”고 말했다. 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