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복지타운 시청사부지 공공임대주택건설 반대비상대책위원회가 12일 오후 제주도의회 앞에서 제주도의 행복주택 건설계획을 강하게 규탄했다. 허호준 기자
제주도가 입지 타당성 논란이 이는 제주시 도남동 시민복지타운에 행복주택 건설을 강행하고 나섰다. 주민 공감대 형성을 통해 건설하겠다고 밝혔던 제주도는 건설 계획을 먼저 밝힌 뒤에도 주민들과 계속 대화를 하겠다고 밝혔지만, 막무가내식 정책 추진이라는 지적이 일고 있다.
지역주민들은 12일 오후 2시 제주도의회 본회의에 참석하던 원희룡 제주지사를 막고 건설 계획을 중단하라며 항의했다.
제주도는 지난 8일 제주시 도남동 시민복지타운 시청사 터 활용방안에 대한 용역 결과 공원, 공공시설과 함께 행복주택을 짓는 ‘도남 해피타운’을 조성한다고 밝혔다. 이 사업의 핵심은 총사업비 788억원을 들여 700세대가 입주하는 4개동 10층 규모의 행복주택과 80세대 규모의 실버주택 건립이다.
시민복지타운 행복주택 건립은 지난해 8월1일 제주시 목관아에서 열린 제주도제 실시 70주년 기념 정책박람회에서 원희룡 지사가 시민복지타운에 공공임대주택을 건설하겠다고 깜짝 발표한 뒤 추진됐다.
그 뒤 원 지사는 도의회와 정책간담회 등에서 “시민복지타운 시청사 부지 행복주택은 국토부와 조율과정에서 도제실시 70주년 행사에서 공개된 상황이다. 이제 와서 주워 담을 수도 없고 공론화 과정을 통해 주민동의과정을 철저히 얻도록 하겠다”고 했다. 행복주택 건립을 기정사실로 한 것이다. 이 때문에 고운봉 도시건설국장은 지난 8일 조성계획을 발표하면서도 “우려하는 주민들 얘기도 듣고, 사업승인을 받기 전에 의견을 듣겠다”고 했지만, 계획 발표 뒤 의견 수렴은 ‘명분 쌓기용’이라는 지적이다.
제주도는 교통체증에 대한 우려를 의식했는지 보행환경 확보를 위해 연삼로 지하보도 설치 검토, 교통개선을 위한 버스노선 신설, 주변 도로 확충, 공용주차장 설치 등 교통환경 개선사업을 병행하겠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건립 예정지가 출·퇴근 시간 차량정체 현상을 빚는 구제주와 신제주를 잇는 주요 도로인 연삼로변에 있는 데다 시청사 예정터였던 곳에 추진하면서 주민과 시민사회의 반발이 이어지고 있다. 지역주민들로 구성된 ‘시민복지타운 시청사부지 공공임대주택 건설 반대비상대책위원회’는 이날 도의회 기자회견을 열고 △임대주택 건설계획 중단 △도민 기만행위 중단 등을 요구하고, 임시회 본회의에 참석하려던 원 지사를 의회 현관에서 막고 거칠게 항의했다.
김대호 제주대안연구공동체 이사는 “대중교통과 도시의 역사와 성장, 도시민의 행복의 관점에서 터 선정에 고민해야 한다. 780세대면 인구수로 1500여명 정도로 제주에서는 대단지로 분류할 수 있다. 입주민 차들이 동일 시간대에 500여대 이상 몰릴 것인데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다.
일부 전문가와 시민단체들은 “시민복지타운을 시민 모두가 공유할 수 있는 공원으로 조성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허호준 기자
hojoo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