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침몰 원인을 찾기 위해 급변침, 화물 과적, 복원력 상실 등에 대한 정밀조사가 다시 이뤄진다.
세월호 선체조사위원회(선조위)는 23일 목포신항에서 선체조사담당 소위원회(제1소위)를 열어 ‘급선회 항적과 횡경사 조사 안건’을 의결했다. 이 안건은 인천항 출항부터 진도 맹골수도 침몰까지 세월호의 운항 과정 전반을 조사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사고수역의 항적 △급선회와 급변침 △복원력 상실과 급격한 기울기 △적재화물의 무게 △속력·수심 등 항해기록 △관련자와 참고인 조사 등이 포함됐다. 선조위는 ”기존 검찰 수사 내용이나 법원 재판 결과를 전제로 하지 않고 원점에서 다시 조사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인양과정 전반에 관한 조사 안건’은 범위와 내용을 보강해 다시 논의하기로 했다. 이 안건은 애초 선정한 플로팅 독 인양방식이 적절했는지, 왜 리프팅 빔 인양방식으로 변경했는지, 어떻게 인양에 3년이나 걸렸는지 등 각종 의혹을 규명하기 위해 제안됐다. 이 안건을 채택하면 △인양방식 결정△인양방식 변경△인양 시기 지연 △인양과정의 선체 절단 △인양 전 유실방지망 설치 △인양 후 선체 변형 등이 조사 범위에 들어가게 된다.
권영빈 1소위원장은 “인양과정 조사는 다양하고 구체적인 의견들이 제시돼 보완한 뒤 다시 논의하기로 했다. 다음 달 7일 열릴 전원위에 보완한 선체조사계획안을 보고하겠다”고 말했다.
선조위는 이날 분야별 직원 공채를 통해 선박 18명, 조사 12명, 홍보·촬영·기록 1명씩 등 모두 33명의 합격자를 뽑았다. 다음 달 10일까지 이들의 신원 조회를 마치고 임용할 방침이다. 글·사진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