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 강점기 조선인들이 대규모로 강제동원된 군함도. 제주학센터 제공
제주발전연구원 제주학센터가 일제 강점기 일본 등으로 강제동원된 제주도민 실태조사에 나섰다. 그동안 총리실 소속 ‘대일항쟁기 강제동원 피해조사 및 국외 강제동원희생자 등 지원위원회’ 차원에서 강제동원 실태를 조사한 적은 있으나, 지자체가 조사에 나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3차례로 나눠 조사에 들어간 제주학센터는 20일부터 열흘 동안의 일정으로 일본 도쿄와 간사이 지역 등에 대한 조사에 들어갔다. 앞서 지난 1일부터 11일까지는 군함도(하시마), 다카시마 탄광 등 규슈, 주고쿠, 간사이 지역 등에 대한 실태조사를 벌여 제주 출신 강제동원자들의 명단을 발굴했다. 제주학센터는 다음 달 도호쿠와 홋카이도 지역에 대한 3차 조사에 들어간다.
제주학센터 쪽은 “이번에 발굴된 명단 가운데 일부는 국가기록원에 있는 일제 강점기 피해자 명부에 누락된 이름들도 있다”고 말했다. 센터는 이번 사업을 통해 일본에서 활동하고 있는 일본 강제동원 진상규명네트워크와 협력하는 방안도 모색한다.
이번 일본 현지조사는 일제 강점기 재일 제주인의 강제연행에 대한 역사적 고증사업의 하나로 ‘일제 강점기 재일 제주인 강제연행 이주경로 추적’을 주제로 진행되고 있다.
박찬식 제주학센터장은 “재일한국인에 대한 강제동원 실태에 대해서는 일본 시민사회단체와 일부 연구자들에 의해 일부 밝혀졌으나 극히 일부라고 생각된다. 1939년부터 1945년 사이 강제동원된 제주도민들의 역사를 추적 발굴해 지역 차원의 강제동원 역사를 제대로 밝혀내고 이를 후세대에 알리는 역사교육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일제 강점기 제주지역에서 강제동원된 인원은 군인과 군무원, 노무자 등 모두 8715명인 것으로 집계됐다.
허호준 기자
hojoo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