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충제 달걀’ 파문 진정 때까지 달걀 유통업체들 자율결정
제주도 “도내 제주산 달걀 자급률 95%…소비에 문제없어”
제주도 “도내 제주산 달걀 자급률 95%…소비에 문제없어”
제주도가 다른 지방의 달걀 반입을 전면 금지한다.
제주도는 21일 도내 달걀 유통업체들과 긴급대책회의를 열고 ‘살충제 달걀’ 파문이 안정될 때까지 다른 지방 달걀의 반입을 한시적으로 금지하기로 자율 합의했다고 밝혔다. 도는 소비자들의 불안을 덜기 위해 제주도 내에 반입된 ‘살충제 달걀’을 모두 회수하고 폐기하는 한편 이번 유통업체들의 결정을 통해 도내 유통까지 차단함으로써 살충제 달걀 파동이 이른 시일에 끝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이에 따라 21일 밤 12시부터 다른 지방 달걀 반입이 금지되고, 유통업체를 포함해 도내 49개 식용란 수집 판매업소도 협조하기로 했다고 도는 밝혔다.
제주지역에는 지난 11일 경기 이천시에서 생산된 ‘08 광명농장’ 달걀 2만1600개와 경남 창녕군에서 생산한 ‘15 연암’ 달걀 9천개 등 모두 3만600개가 뭍에서 들어왔고, 이 가운데 40%가 판매됐다. 도는 나머지 60%의 달걀을 회수해 21일 오전 폐기했다.
도는 또 도내 37개 산란닭 농가를 전수조사한 결과 진드기 구제용 제품을 사용한 농가는 11농가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들 농가 가운데 식물유 성분을 사료에 첨가한 농가가 6농가이고, 나머지는 천연물질 등을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됐으며, 유해성 물질은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약품이 없어서 검사를 하지 못한 잔류농약 추가 성분 4가지에 대한 검사 결과 아무것도 검출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안동부 정무부지사는 “제주지역의 달걀 자급률은 95%에 이르고 있는데 살충제 달걀 파동으로 20~30% 정도 소비가 둔화한 상태다. 이 때문에 다른 지방 달걀 반입을 금지해도 문제는 없다”고 말했다.
허호준 기자 hojoo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