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민단체협의회 등은 “외부 낙하산은 안된다“
부산참여자치시민연대 “엘시티 연루자는 안된다”
부산참여자치시민연대 “엘시티 연루자는 안된다”
부산은행과 경남은행의 모기업이자 지주회사인 비앤케이(BNK)금융그룹의 새 회장 선정 논란이 시민단체들까지 가세하면서 가열되고 있다.
22일 지역 금융계의 말을 들어보면, 부산시민단체협의회와 부산경제살리기시민연대는 비앤케이금융그룹 내부 인사가 새 회장으로 임명되기를 바라고 있다. 지난 21일엔 부산은행 노조와 함께 부산 남구 문현금융단지 안 부산은행 본점 복도에서 집회를 열어 “낙하산 인사가 새 회장에 임명되면 임원추천위원회를 고발하고 국회 청문회를 촉구하겠다"고 밝혔다. 이들 단체가 지목한 낙하산 인사는 김지완 전 하나금융지주 부회장이다.
부산참여자치시민연대는 다른 목소리를 냈다. 부산참여자치시민연대는 같은 날 성명을 내어 “기관의 낙하산 인사에 대해 원칙적으로 반대하지만 부산은행의 문제는 낙하산 인사가 아니라 내부 적폐다”며 사실상 비앤케이금융그룹 내부 인사가 새 회장에 임명되는 것을 반대했다.
부산참여자치시민연대가 이런 입장을 표명한 것은 부산 해운대해수욕장 앞의 대단지 호텔·아파트 단지 ‘엘시티’에 부산은행이 연루됐기 때문이다. 앞서 엘시티는 유동성 위기에 사업이 좌초될 위기까지 몰렸으나 부산은행은 2015년 1월 실적도 없는 엘시티에 3800억원을 대출했다. 이어 엘시티는 2015년 9월 15개 금융기관과 1조7800억원 규모의 프로젝트 파이낸싱 약정을 체결했는데 부산은행과 경남은행이 1조1500억원(64.6%)을 책임졌다. 엘시티를 살린 것은 사실상 부산은행이었다.
2006년 3월~2013년 8월 부산은행 은행장과 비앤케이금융그룹 회장을 지낸 이장호씨도 엘시티 실제 소유주 이영복(67·구속)씨한테서 250만원어치 상품권과 중국 유명 서예가의 시가 1200만원짜리 미술작품을 받은 혐의로 지난 3월 불구속 기소돼 재판을 받고 있다.
비앤케이금융그룹 이사회는 성세환 전 회장이 4월 자사 주식 시세조종 혐의로 구속된 뒤 임원추천위원회를 꾸려 새 회장을 공모했다. 새 회장 선임을 위한 임원추천위원회는 17일에 이어 21일에도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임추위는 다음 달 8일 다시 회의를 열기로 했다. 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