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수세계박람회장의 빅오 분수쇼 2012여수세계박람회재단 제공
2012년 해양박람회가 열린 뒤 방치됐던 여수세계박람회장을 어떻게 활용해야 할까.
여수선언실천위원회와 동서포럼은 31일 오후 2시 여수시 덕충동 세계박람회장 세미나실에서 ‘문재인 정부의 박람회장 사후활용 방향과 전망’이라는 주제로 토론회를 연다.
조세윤 동서포럼 공동대표가 여수박람회장의 사후활용 방향을 발제한 뒤 △여수선언의 가치 구현 △박람회장 활성화 방안 △지역사회의 역할 등 분야별로 토론을 펼친다. 토론자로는 조환익 여수환경연합 사무국장, 박계성 여수시민포럼 공동대표, 임영찬 여수선언실천위원회 집행위원장 등이 참여한다.
이어 여수시민의 바람을 문재인 정부에 전달하는 결의문을 채택한다. 시민들은 결의문을 통해 “‘살아있는 바다, 숨 쉬는 연안’이라는 2012년 박람회 주제에 맞게 해양문화와 해양환경을 보존하고, 지구적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거점으로 삼아야 한다”는 제안을 내놓기로 했다.구체적으로는 동아시아 해양기후센터 설립, 유엔녹색기금 여수분원 유치 등을 촉구할 예정이다.
이 토론회는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2월 민주당 대선 후보 시절 여수를 찾아 매각 일변도 정책을 재검토하겠다고 약속한 데 따른 지역의 응답이다. 당시 문 대통령은 “여수박람회는 국토균형발전을 위한 참여정부의 역점사업이었지만 이후 정부 들어 그 취지를 살리지 못하고 사후활용 대신 사후청산을 하려 했다. 이를 바로 잡겠다”고 공언했다.
하지만 문 대통령이 취임한 이후에도 100대 국정 과제에 들어가지 못하는 등 제자리걸음을 하자 지역사회에서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이상훈 여수와이엠시에이 사무총장은 “105개 국가와 10개 국제기구, 820만명이 참여했던 여수박람회의 정신을 살려야 한다. 정부가 투자금 중 회수하지 못한 3600억원을 시설매각으로 충당하려 하지 말고 해양 관련 공익사업에 재투자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부는 투자금 회수를 위해 박람회장 시설 가운데 국제관 주제관 스카이타워 빅오(Big O) 등 22만㎡의 매각과 임대를 추진해왔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높은 가격, 엄격한 용도 제한, 까다로운 계약 조건 탓에 민간사업자의 관심을 끌지 못했다. 이 때문에 시설 가운데 주제관과 빅오만 임대됐고, 해양레저구역 일부가 매각됐을 뿐 실적이 미미한 편이다.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