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창원·고양시에 이어
10년 동안 연평균 2.2%씩 늘어
15년 만에 배 증가해 100만54명
10년 동안 연평균 2.2%씩 늘어
15년 만에 배 증가해 100만54명
경기도 용인시 인구가 100만명을 돌파했다. 이에 따라 전국에서 인구 100만명이 넘는 기초지방자치단체는 용인시를 합쳐 수원시(119만명), 창원시(105만명), 고양시(104만명) 등 4곳으로 늘었다.
3일 용인시의 말을 종합하면, 내국인만으로 집계한 용인시 인구는 지난 1일 기준으로 100만54명을 기록했다. 외국인을 포함하면 101만6507명이다. 광역시를 포함한 전국 도시인구 순위는 11번째다.
2002년 50만명을 돌파한 용인시 인구가 불과 15년만에 배로 증가했다. 용인시는 수지·기흥구 일대를 중심으로 집중한 주택건설과 투자유치 정책으로 일자리가 늘어나면서 최근 10년간 연평균 2.2%씩 꾸준히 인구가 증가한 결과라고 분석했다.
올 하반기에는 역북지구 도시개발사업지구 3개 단지(3142가구)를 포함해 7개 단지(5115가구)가 용인시에 추가로 들어설 예정이어서 1만3800여명의 인구가 더 늘어날 것으로 시는 예상한다.
인구 100만을 돌파한 용인시는 지방분권 및 지방행정체제개편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인구 100만 이상 대도시의 사무 특례’를 받는다. 지역개발 채권 발행, 택지개발지구와 재정비촉진지구 지정, 50층 이하 연면적 20만㎡ 미만 건축물 허가권 등 9개 사무를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또 시가 징수하는 도세의 47%를 받던 것에서 10% 이내에서 추가로 받을 수 있어 시 재정이 늘어난다.
이 밖에 국·실은 최대 8개까지 만들 수 있고, 기존 4급 직급 가운데 3개를 3급으로 상향 조정할 수 있다. 시는 제2부시장직을 신설하고, 4급 직급 2개를 3·4급 복수직급으로 추가 상향 조정하며, 의회사무국 내 의정담당관을 신설하는 등 조직을 확대할 예정이다.
정찬민 용인시장은 “인구 100만 대도시에 진입한 것은 용인시 발전에 큰 이정표다. 대도시에 걸맞게 자족 기반을 구축하고 제2 도약을 위해 행정력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용인/김기성 기자 player009@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