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주군 ‘특정 지역 염두에 둔 차별적 자료’ 의혹
울산시 ‘공공성 의심의 여지 없어’ 반박
수도권 11개 공공기관이 울산으로 옮겨올 터를 선정하는 혁신도시 입지선정을 싸고 선정위에 제출된 울산시의 평가자료가 부실 논란에 휩싸여 선정작업이 늦어지고 심각한 후유증이 예상된다.
울산시가 혁신도시 입지선정위에 제출한 자료엔 10곳의 후보지 가운데 중구 우정동 지구는 지표조사를 하지 않은 단순 문화재 분포지역이라는 이유로 41만여평이 그대로 포함돼 면적이 84만평으로 늘었다. 반면, 울주군 삼남면 신화지구는 지난해 6월 문화재청이 지표조사를 통해 문화재 원형 보전지역으로 지정했다는 이유로 48만평이 후보지에서 빠졌다. 또 농업진흥지역 34만여평도 제외돼, 전체 후보지 면적이 104만평에서 22만평으로 줄었다.
강길부 울주군 출신 국회의원(열린우리당) 쪽은 “건설교통부가 문화재지역과 농업진흥지역을 후보지 면적에서 빼라고 지시한 적이 없고, 혁신도시로 선정된 경남 진주와 전남 나주도 30% 이상이 농업진흥지역”이라며 “시가 특정지역을 혁신도시로 염두해 두고 자료를 작성한 것이 아니냐”고 의혹을 제기했다.
시는 “건교부가 농업진흥지역과 매장문화재 집중분포지역을 명시하지는 않았지만, 지침에 ‘개발제한이 없는 곳’이라고 못박고 있고, 공공기관 노조의 질의에 대해 ‘농업진흥지역은 제외하는 것이 원칙’이라고 회시한 바 있다”고 반박했다.
시는 애초 후보지 선정작업을 이달 중순까지 끝낼 예정이었으나, 공공기관 노조 대표들이 평가자료가 미흡하다며 자료 보완을 요청함에 따라 이달 말로 연기했다.
시 관계자는 “선정위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세부자료를 추가로 제출했을 뿐 평가자료의 공정성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고 강조했지만, 평가자료가 미흡해 선정작업을 늦춘 것은 스스로 평가자료 부실을 인정한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울산/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