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인석 경기 화성시장이 9일 화성시청 주차장에서 심부지열 에너지 상용화 계획을 밝히고 있다.
경기 화성시가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신재생에너지인 심부지열 에너지를 청사 냉·난방에 사용하는 상용화에 나섰다.
화성시는 9일 오후 화성시청 관용차량 주차장에서 심부지열 시추 기술브리핑과 시연회를 열고 6개월간 시추작업을 벌여 심부지열의 상용화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심부지열 에너지란 지하 4∼5㎞ 깊은 땅속까지 시추공을 설치해 100℃ 이상 가열된 지하수 또는 고온 증기를 지상으로 끌어올린 뒤 온수와 난방, 전기발전 등에 활용하는 신재생에너지다.
미국과 독일, 덴마크, 뉴질랜드 등에서 심부지열을 활용해 주택과 공공건물은 물론 수영장 등에 냉·난방 전기발전 등에 사용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전남 나주시가 농림축산식품부와 함께 지난해 심부지열을 활용한 원예시설 난방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한진디엔비(D&B) 등 심부지역 개발업체가 앞을고 6개월간 진행될 시추작업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화성시는 심부지열 상용화를 위해 9월27일 심부지열 개발 업체인 한진디엔비(D&B) 등과 협약을 체결했다. 이들 업체는 이날 시추공 설치를 시작으로 6개월간 지하 5㎞ 이상을 시추해 토출 온도 110℃ 이상, 시간당 유량 5만ℓ 이상의 심부지열 열원이 확인되면 상용화에 나설 예정이다. 개발비용은 한진디엔비 등이 부담하고 화성시는 시추공사에 필요한 땅을 지원한다.
시추에 나선 한진디엔비는 광주광역시에서 ‘심부지열 시추기술 개발사업’을 추진해 지하 3.5㎞까지 시추기술을 인정받았고, 나주에서는 지하 2㎞ 심부지열 개발에 성공했다.
채인석 화성시장은 “심부지열 개발은 환경을 보존하면서도 지속가능한 성장을 꿈꾸는 에코 스마트 시티로의 도전을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홍용덕 기자
ydhong@hani.co.kr 사진 화성시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