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월3일 제주시 봉개동 제주4·3평화공원에서 열린 제69주기 제주4·3위령제에 참가한 유족과 도민 등이 헌화 분향하고 있다.
우리나라 국민들은 ‘제주4·3’을 얼마나 알고 있을까. 전국을 상대로 제주4·3을 알고 있는지를 물어 본 조사결과가 처음 나왔다.
제주4·3평화재단이 10일 내놓은 ‘제주4·3 인지도 및 인식조사’ 결과를 보면, ‘4·3을 알고 있다’는 응답자는 68.1%로 국민 10명 중 7명은 제주4·3을 아는 것으로 조사됐다. 해방 이후 한국 현대사의 주요 사건 가운데 ‘5·18 광주민주화운동’ 인지율은 99%였다. 노근리 양민학살사건(75.7%), 제주4·3, 여순산건(63.9%), 보도연맹사건(46.3%) 등이 뒤를 이었다. 이번 조사는 제주4·3평화재단이 코리아리서치센터에 맡겨 진행한 것으로, 전국(제주 제외) 인지도 조사와 전국민(제주 제외) 인식조사, 제주도민 인식조사 등 3가지로 이뤄졌다. 인지도 조사에서 ‘4·3 성격’을 묻는 질문과 관련해 전국과 제주도 모두 ‘양민 학살’(전국 38.5%, 제주 69.9%)이라는 응답이 가장 높았다. 4·3에 대한 관심을 알아보기 위한 희생자 규모를 묻는 질문에는 전국 조사에서 ‘1천~1만명’이 44.2%로 가장 높았고, 다음이 ‘1만~3만명’이라는 응답자는 35%였다. 제주 조사에서는 ‘1만~3만명’이라는 응답자가 57.1%로 가장 높았고, 이어 ‘1천~1만명’이라고 답한 응답자는 24.2%로 나타났다. 2003년 발간한 정부의 <제주4·3사건진상조사보고서>에 나온 희생자는 2만5천~3만여명으로 추정하고 있다.
‘4·3 진상규명’과 관련해 전국 조사에서는 진상규명이 ‘이루어졌다’는 응답(32.6%)과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응답(32.7%)이 비슷하게 나타났다. 반면 제주 조사에서는 ‘이루어졌다’(20.0%)가 ‘이루어지지 않았다’(33.3%)에 견줘 13.3%포인트 더 낮게 나타났다. 이는 상대적으로 제주도민들은 4·3진상규명이 충분치 않다고 생각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제주4·3평화공원 안에 있는 행방불명인 표지석.
4·3의 적절한 명칭에 대해 전국 조사에서는 ‘제주4·3학살’(20.0%)과 ‘제주4·3항쟁’(19.7%)이 높았고, ‘제주4·3사건’(10.3%)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반면 제주 조사에서는 ‘제주4·3사건’(29.1%)이 가장 높았고, 이어 ‘제주4·3항쟁’(15.3%), ‘제주4·3학살’(6.9%) 등의 순이었다.
제주4·3의 진상을 알리기 위한 방법은 ‘신문·방송 등 언론매체’(전국 51.4%, 제주 58.5%)를 선호했고, 이어 학교 수업(전국 12.8%, 제주 26.3%) 차례였다.
문재인 정부의 100대 국정과제 중 ‘국민 눈높이에 맞는 과거사 문제 해결’이 포함됐는지를 묻는 조사에서는 ‘알고 있다’는 응답이 전국 59.1%, 제주 61.6%로 나타나 국민 10명 중 6명이 알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제주 조사에서는 4·3 미해결 과제 중 주요 과제는 추가 진상조사(64.2%)가 가장 많이 꼽혔고, 희생자·유족 명예회복(21.1%), 미국 책임 규명(6.9%) 등이 뒤를 이었으며, 제주4·3특별법 개정 때 반드시 포함돼야 할 사항을 묻는 질문에는 희생자 범위 확대(63.7%), 희생자와 유족 배·보상(21.0%), 4·3 당시 재판 무효와 특별 재심(8.1%) 등이었다. 전국 인지도 조사는 지난 9월 4∼6일 제주를 제외한 전국 16개 시·도 성인 1천명을 대상으로 전화조사로 진행됐다. 인식조사는 전국민은 16개 시·도 1208명, 제주도민은 제주 거주 506명을 대상으로 지난 9월9일부터 10월 13일까지 가구 방문 대면면접조사로 이뤄졌다.
허호준 기자
hojoo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