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간 공무원 예산 절감 사례 보니
특허도 받고 우수사례로도 선정돼
건당 수천만 원에서 수백억 원까지
시 “절감한 예산은 모두 시민 몫”
특허도 받고 우수사례로도 선정돼
건당 수천만 원에서 수백억 원까지
시 “절감한 예산은 모두 시민 몫”
경기도 용인시는 최근 3년 동안 공무원들의 아이디어로 한 건당 수천만 원∼수백억 원의 예산을 절감했다고 13일 밝혔다.
시가 이날 밝힌 예산 절감 사례를 보면, 용인시 상수도사업소는 시간과 관계없이 물이 빠지면 작동하고 가득 차면 멈추는 방식의 배수지 송수펌프 가동시스템을 전력요금이 저렴한 심야시간대에만 가동하도록 바꿔 연간 3억1천만원을 절감했다. 상수도사업소 소속 이종수·윤해정 주무관이 낸 이 아이디어는 특허청으로부터 특허까지 받았고, 전국 상하수도 업무개선 우수사례로도 선정됐다.
용인시는 또 지난해 7월 캐나다 봄바디어사의 운영권이 만료된 용인경전철의 차기 운영자로 신분당선 운영사인 국내 업체 '네오트랜스'를 선정했다. 이에 따라 7년 동안 경전철 관리 운영비를 1856억원에서 1690억원으로 낮춰 166억원의 예산을 절감하게 됐다.
용인시는 과도한 사업비 때문에 일부만 조성하고 공사가 중단된 기흥호수공원의 사업방식을 바꿔 예산을 아끼기도 했다. 10㎞에 달하는 기흥저수지 둘레 토지를 사들여 공원화하는 이 사업은 2004년 기준 3200억원이 들어갈 것으로 예상했다. 이런 막대한 사업비 때문에 329억원이 투입돼 2.6㎞의 산책로만 만든 뒤 중단됐다.
이에 시는 지난해부터 토지를 사는 대신 토지 소유자들을 설득해 사용승낙을 받아 산책로를 만드는 아이디어를 냈다. 이를 통해 40억원만 들이고도 올해 말까지 산책로 조성을 완료할 수 있게 됐다.
또한, 69억원에 사야 했던 흥덕 ‘청소년 문화의 집’ 건립부지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를 설득해 가격산정기준을 바꿔 51억원만 주고 소유권을 넘겨받았고, 용인시가 60%를 분담해 경기도교육청과 추진하기로 한 학교환경개선사업은 3년 동안 50%씩 분담하기로 도교육청을 설득해 올해만 19억원을 절약하게 됐다. 이 밖에 시는 지난해부터 시장 집무실과 사무실에 필요한 사무용 가구를 모두 중고로 사 5천여만원을 절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용인시 관계자는 “저비용 고효율을 강조하며 긴축정책을 추진한 덕에 조직 내 여러 부문에서 예산을 크게 절감할 수 있었다. 창의적 아이디어로 아낀 예산은 모두 시민에게 돌려드리겠다"고 말했다.
용인/김기성 기자 player009@hani.co.kr
경기도 용인시가 공무원들의 톡톡 튀는 아이디어로 3년 동안 수백억 원의 예산을 절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용인시청 앞으로 지나는 경전철 모습. 용인시 제공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