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희룡 제주지사가 15일 제주도의회에서 내년도 예산안 제출에 따른 시정연설을 하고 있다. 제주도의회 제공
제주도가 지난 13일 도와 제2공항 반대 성산읍 대책위원회가 합의해 정부에 제안한 ‘(공항 인프라 확충) 사전 타당성 용역’ 검증과 관련해 결과에 대한 승복 필요성을 강조했다.
원희룡 제주지사는 15일 열린 제주도의회 제356회 제2차 정례회 본회의에서 2018년도 예산안 제출에 따른 시정연설을 통해 이렇게 밝혔다. 원 지사는 “제2공항 건설은 도민의 숙원이었다. 반대하는 주민들과 소통하면서 입지 선정에 대한 의혹이 해소될 수 있도록 공정한 검증을 정부에 요구하겠다”며 “검증 결과에 대해 모두가 승복하는 상생의 길을 찾을 수 있도록 협조를 부탁한다”고 밝혔다.
원 지사의 이런 발언은 국토부에 제안한 사전 타당성 용역 검증 요청이 받아들여질 것으로 보고 검증 결과 어떤 방식으로 결정 나든 이에 따라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 것으로 보인다.
이날 원 지사는 대중교통체계 혁신의 지속 추진과 렌터카 총량제 도입 정책도 분명히 했다. 그는 “1명당 자동차 보유 대수는 0.55대로 전국에서 가장 높고, 대중교통 이용률은 10.1%로 전국 꼴찌로 만성적인 교통체증과 주차난을 불러왔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대중교통체계를 정비하고, 렌터카 등 차량운행을 줄이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고 말했다. 제주도는 정부로부터 차량운행제한권을 이양받으면, 곧바로 렌터카 총량제를 도입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그는 “택지 공급을 확대하면서도 투기를 예방하고, 택지개발 혜택이 공정하게 돌아갈 수 있도록 신중을 기해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토지와 주택시장을 더 철저하게 관리하겠다”고 약속했다.
그는 5조297억원의 내년도 예산안 편성과 관련해 “청년들의 자립기반 구축을 위한 역량 강화와 활력 제고, 일자리로의 진입지원 확대, 청년주거환경 개선 등을 제주 청년정책의 핵심사업으로 추진하고, 청년 보금자리 지원사업을 통해 청년들의 주거 및 생활안정을 지원하겠다”고 했다. 강정마을 구상금 청구 소송 철회에 대해서는 올해 안에 해결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최근 사회적 논란이 벌어진 축산분뇨 문제와 관련해 “사적 이익을 위해 공적 가치를 해치는 일이 더는 일어나서는 안 된다“며 “축산분뇨 상시 감시체계를 연중 가동하고, 축산악취관리지역을 지정하는 한편 실태조사도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곶자왈 보호지역 관리의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 주민 참여형 생태관광 특화사업을 확대하겠다는 뜻도 밝혔다.
허호준 기자
hojoo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