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민 10명 가운데 7명 이상이 그동안 열린 4·3위령제나 각종 문화공연 등 4·3행사에 참여해 본 적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도의회 4·3특별위원회(위원장 손유원 의원)가 28일 4·3에 대한 도민 인식 및 해결과제에 대한 조사를 위해 제주도민 809명을 대상으로 한 면접조사 결과 이렇게 나타났다.
조사 결과 위령제 등 4·3과 관련한 행사 참여 경험을 묻는 말에 76.4%가 ‘참여한 적이 없다’고 했고, 3.3%만이 ‘자주 참여한다’고 응답해 도민들의 4·3행사 참여가 크게 떨어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유족의 경우에는 44.7%가 참여한 적이 있지만, 유족이 아닌 경우에는 80.6%가 참여한 경험이 없는 것으로 조사돼 각종 4·3 관련 행사에 도민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할 필요성이 제기됐다.
제주4·3을 알고 있느냐는 인지도 조사에서도 ‘매우 잘 알고 있다’(5.1%)거나 ‘잘 알고 있다’(28.1%)는 등 잘 알고 있는 경우가 33.2%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반면 유족인 경우는 69.1%가 잘 알고 있다고 했고, 비유족의 경우에는 28.7%만이 잘 알고 있다고 응답해 도민들의 4·3에 대한 인식을 높여 나가는 방안이 선행돼야 할 것으로 분석됐다.
제주4·3의 성격에 대한 관점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대다수가 ‘양민학살사건’(72.1%)이라고 답했다. 이어 민중항쟁(7.0%), 인민무장폭동(5.2%) 등의 순으로 대답해 ‘양민학살사건’이라는 인식이 강했다. 특히 유족의 경우에는 86.2%가 양민학살사건이라고 응답했다.
학교 교육의 필요성에는 71.4%가 긍정적이라고 했지만, 학교에서 이뤄지는 4·3교육에 대한 평가는 ‘잘 이뤄지고 있다’는 응답이 5.4%에 불과했고, ‘잘 이뤄지고 있지 않다’ 35.1%와 ‘잘 모르겠다’ 22.5%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 보다 실효성 있는 교육의 필요성을 보여줬다.
4·3해결과제는 △행방불명인 진상조사 △암매장 추정지에 대한 추가 발굴 △현대사 연구를 통한 정명 규명 △희생자 및 유족 신고 상설화 △희생자 및 유족에 대한 배·보상 등을 꼽았다.
허호준 기자
hojoon@hani.co.kr